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합격 축하 현수막을 바라보며
"우리의 교육을 다시 생각합니다"
2008-01-25 10:06:46최종 업데이트 : 2008-01-25 10:06:46 작성자 : 시민기자   이영관

 

중학교 정문이나 울타리에 붙은 합격 축하 현수막을 보며 교육의 겉과 속을 생각해 본다. 우리가 깊이 생각하지 않고 그냥 지나치는 이 현수막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고자 한다.

중학교에서는 고입 경쟁률이 치열하여 입학하기 어려운 특목고에 합격자를 배출하였을 때 합격 현수막을 내건다. 진학한 상급학교명과 합격자 이름을 자랑스럽게 내거는 것이다.

이것을 붙인 중학교, 무슨 뜻에서 내다 걸었을까? 
우선 평범하게 공부해서는 들어가기 어려운 고등학교를 영광스럽게 합격했으니 축하의 의미도 있고, 모교의 명예를 드높인 자랑스런 예비졸업생이니 학교 홍보의 의미도 있다 하겠다.

또, 다른 뜻은 없을까? 혹시 이런 속마음은 없을까? 
"우리 학교가 이렇게 좋은 학교다." "학교에서 열심히 가르쳐 좋은 입시성적을 거두었다." "우리 학교는 입시지도와 진로지도를 잘하는 실력 있는 학교다."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실력 있는 선생님이다." "초등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우리 학교가 선호 학교가 되었으면…."

진실에 접근하여 본다. 
특목고 많이 붙였다고 정말 좋은 학교일까? 과연 교사들이 열심히 가르쳤을까? 입시지도와 진로지도를 잘 했을까? 그 학교 선생님들이 진정 실력이 있을까? 
자신 있게 "그렇다"라고 답할 수가 없다. 여기에 교육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아니, 웬 엉뚱한 소리? 안 된 말이지만 이게 중학교 현장의 모습이다. 
각 중학교의 실력, 출발부터 다르다. 무엇 때문에. 그 지역 출신 초등학교의 기본 실력이 밑바탕이다. 
초등학생들의 실력이 우수하고 학부모, 지역사회의 교육여건이 좋고 교육열의가 높으면...학부모가 자녀 공부에 극성(?)이다시피 하면...초등학교 때부터 교육에 올인하면 특목고에 입학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게 현실이다.

얼마 전, 시민기자는 지역 교장 모임에서 한 가지 제안을 했다. 학교에서 공부 잘하는 학생들, 학원에 빼앗기지 말고 학교에서 잡아 그들이 원하는 특목고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학교가 주도권을 잡아 지도하자고. 
사교육에 빼앗긴 것 이제 공교육이 찾아오자고. 기자의 10여년전 교사 시절 경기과학고 진학 15명 사례를 들어가며...그 당시 밤 10시까지 학생들과 저녁 먹어가며 교사와 한 마음이 되어 전력투구하여 지도한 이야기를 꺼내었다.

경력 있는 교장들이 충고(?)를 한다. 
"요즘 학교 실태가 어떤 줄 아느냐?" "어떤 선생님들이 그렇게 헌신해 지도하느냐?" "지도수당이 메리트가 아닌 것 모르느냐?" "교장이 해보려 해도 선생님들 호응도 없고..." "또, 특정단체 소속의 교사들은 드러내 놓고 반대를 하는데 교장이 어떻게 밀어부치느냐?" "요즘, 교장의 말이 선생님들에게 먹혀들어가는 줄 아느냐?"

새내기 교장의 '공교육 살리자'는 의욕적인 제안은 그만 무안을 당하고 말았다. 
매(교사)가 꿩(학생)을 잡아야 하는데 잡으려 들지 않는다. 잡으려고 몇 번 시도하다가는 정부의 교육 홀대 정책, 교권 깔아뭉개기에 그만 뒤로 물러나고 만다. 잡으려는 사람이 바보 취급 당하는 실정이다. 그러니 누가 꿩을 잡을까?

교육자가 교육에 의욕을 잃는 순간, 학생지도를 포기하는 순간...교육은 이미 끝난 것이 아닐까? 
교사의 교육애와 사명감, 헌신은 물 건너간 이야기다. '학생'은 '교사'라는 직업에 따른 존재일 뿐이다. 슬픈 이야기지만 이게 학교 현장이라면 너무 비관적으로 본 것일까?

요즘 학생의 특목고 입학, 심하게 이야기하면 학교 노력 10-20%, 학생과 학부모 노력 80-90%다. 학생 본인의 4당5락(4当5落) 노력과 학부모의 극성(?)과 엄청난 사교육비 지출 대가로 얻었다고 보는 것이다.

학교에서 자랑스럽게, 당당하게, 한 점 부끄럼 없이 합격 현수막을 내거는 세상이 되었으면 한다. 
특목고 합격 요인이 교사의 열정과 학교의 노력 80-90% 정도가 되어 합격한 학생이 "선생님, 정말 고맙습니다."를 외치고 모교를 자랑스럽게 여기지 않을까?

특목고 지망생들이 학교 공부보다 학원 공부에 매달리는 모습,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 
그러기에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가 자못 크다. 교육 바로세우기와 공교육 살리기, 최고 통치권자의 확고한 의지에 달려 있는 것이다. 
"교육 없이는 경제도 없다."는 이 당선인의 말처럼, 공교육을 살리고 선배 교장과 새내기 교장의 기(氣)를 살려주기 바란다.
이영관님의 네임카드

이영관, 공교육살리기, 잃어버린 교육 10년, 특목고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