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글쟁이'가 가야 할 길
인터넷 매체 글쓰기의 매력도 크다
2010-04-13 20:58:43최종 업데이트 : 2010-04-13 20:58:43 작성자 : 시민기자   윤재열

인터넷 미디어에 글을 발표하는 필자를 보고 문우(文友)가 말을 했다. 전문가답게 글의 내용이 알차고 품위가 있다는 칭찬이다. 
그러더니 본론에 들어서서 다소 거칠게 말했다. 작가의 길은 세속과 멀어야 한다는 것이다. 작가 정신은 청빈하고 선비 정신도 필요하다고 역설을 했다. 그리고 글쓰기도 전문가와 아마추어의 영역이 다르고 서로 침범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를 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전문 작가이니 점잖게 아마추어에게 자리를 내주고 본연의 자리로 돌아오라는 부탁이었다. 그 친구는 나를 만나면 꼭 하고 싶었다며 앞에 둔 소주만큼이나 쓰디쓰게 말했다. 

문우는 필자가 인터넷 미디어에 글을 쓰고 있는 것을 탓잡았다. 최근 인터넷 미디어는 전문 기자가 뉴스를 전하기도 하지만 독자가 직접 참여하는 글쓰기도 왕성하다. 참여하는 기자는 주부부터 다양한 계층이다. 말 그대로 아마추어 기자가 참여한다. 그 자리에 전문가인 필자가 있다는 것이다. 

우선 변명을 하기 전에 필자를 전문가 운운하며 남다른 인정(?)을 해준 것은 고마울 따름이다. 
필자는 문학을 좋아해 고등학교 때부터 글을 쓰고 대학에서 문학 공부를 하면서 평생 문학과 함께 하지만 전문가라는 생각은 감히 못했다. 오직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하는 글쟁이일 뿐이다. 그래서 독자가 참여하는 글쓰기에도 남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아울러 충고를 준 문우는 문예지로 돌아오라고 했는데 잘 모르는 소리이다. 
사실 돌아갈 곳이 없다. 문예지에 글을 발표하고 싶지만 지면이 없다. 소수의 이름 있는 문인이 아니면 발을 디딜 수 없다. 어쩌다가 글을 발표해도 오히려 작품이 실렸으니 잡지를 구독해달라는 황당한 엄포만 날아온다. 

최근 문단은 풍요로운 영역처럼 느껴진다. 문예지가 우후죽순 격으로 창간되고, 신인 문인이 대거 배출되고 있다. 문학 단체가 구성되어 작품집을 내고, 문인들은 너나없이 작품집을 발간하고 있다. 
하지만 사실 문단의 실상은 답답하고 서글프다. 가장 먼저 독자가 없다. 작품집은 가난한 문인들만 보고 있고, 넘쳐나는 작품집은 자비로 출판한 책이다. 구입하는 독자도 없다. 자기네들끼리 나눠 갖고, 읽고 싶은 사람도 공짜로 얻는 것을 당연하듯이 말한다. 

물론 이렇게 어려운 풍토 속에서도 문학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는 문인에게 박수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문우의 말대로 문예지에 글을 쓰는 것은 전문적인 영역이고, 인터넷에 잡문(?)을 쓰는 것이 아마추어의 영역이라고 구분을 한다면 문단의 상황은 좋아지기 힘들다. 

최근 자연과학자로서는 드물게 대중적 인기를 끌고 있는 최재천 교수가 '통섭'이라는 화두를 던져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최 교수의 말에 따르면 과거에는 철학, 과학, 예술을 한 사람이 섭렵할 수 있었던 시대가 있었지만, 21세기는 인간이 축적한 지식이 너무나 방대해서 한사람이 한 분야를 깊이 파기에도 버거운 시대가 왔다고 말한다. 이제는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한데 모여 문제를 함께 풀어야만 진정으로 창의적인 솔루션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글쟁이'가 가야 할 길_1
시민기자가 활동하는 해피 수원뉴스

최 교수의 학문적 이론이 글쓰기의 전문적인 영역과 아마추어 영역을 구분하는 문제점으로 지적하기는 무리가 따를 수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인터넷 글쓰기를 아마추어라고 폄하하는 것은 잘못된 지적임이 확실하다. 
지금 인터넷의 글은 대중의 여론을 빠른 시기에 형상하고 반응도 즉각적이다. 오프라인 언론을 능가하는 독자도 확보하고 있다. 
인터넷에 글쓰기는 독자가 많다는 점에서도 매력이 있다. 아마추어가 만드는 인터넷 블로그는 거대한 지식과 정보의 창고를 형성하고 있다. 이미 인터넷 언론이 네티즌에게 기사 작성 권리를 넘겨준 것이 현실이다. 인터넷에는 전문가가 따로 없다.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서 '통섭'의 문화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개인적인 이야기지만 필자는 오히려 인터넷에 글쓰기를 하면서 적은 글값이라도 받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만나는 독자도 많다. 그리고 색다른 경험도 했다. 글이 일간 신문에 인용되기도 했다. 오히려 유명세를 탓다. 인터넷에 발표된 글이 교육방송(EBS) 언어영역 교재에 지문으로 채택되어 저작권료를 받기도 했다. 

상황이 이런대도 전문가와 아마추어 금 긋기를 하는 행태는 문인임을 자랑하는 사람들의 저급한 생각이다. 문우는 글쟁이가 가야 할 길은 숭고한 영역이라고 했는데 그야말로 잘못된 특권 의식이다. 글쓰기는 오직 창작의 숭고한 고통만이 있을 뿐이다. 글쟁이가 추구해야 할 것은 그 숭고한 정신만이 있다. 여기에 전문가니 아마추어니 하는 겉치장은 필요가 없다. 

필자는 재주가 없어 다른 사람들에 비해 글을 쓸 때 고되고 힘겨운 고통을 받는다. 그런데도 이 작업을 멈추지 않는 이유가 있다. 
가치 있는 삶이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글을 쓰는 동안 나는 끊임없이 스스로 정화되는 느낌을 받는다. 이것도 글쟁이가 가는 길이 아닐까.

윤재열님의 네임카드

윤재열, 글쟁이가 가야 할 길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