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국내 거주 외국인에 한국어 교육, 전문가가 실시해야
<칼럼>언어는 사회 통로의 관문
2007-11-26 10:02:51최종 업데이트 : 2007-11-26 10:02:51 작성자 : 시민기자   윤재열
최근 우리 주변에 외국인 여성이 부쩍 많아졌다. 이유는 여럿이 있겠지만, 대표적인 경우가 우리나라 총각과 결혼한 여성들이다. 통계에 의하면, 국제결혼 건수가 2005년에 4만 3,121건이라 한다. 
이는 정부가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0년 국제결혼 건수 4,710건과 비교 해 볼 때 엄청난 변화다. 15년 만에 무려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2006년에는 농촌 총각의 41.9%(3,525명), 10명 중 4명 정도가 베트남 등 외국 여성과 결혼했다. 우리나라에 체류 중인 외국인 숫자도 100여만 명에 이른다. 이제 우리나라도 빠른 속도로 인종, 다문화 사회로 변해간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여성 결혼 이민자 및 혼혈인·이주자 사회통합 대책' 등 결혼 이민자들의 사회통합을 돕기 위한 대책을 마련한다. 
특히 지방자치 단체 등에서도 이주여성들이 우리 사회에 안정적으로 체류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하고, 사회단체에서도 무료 한국어 교육을 통해 다문화 사회에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하고 있어서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 
전문가에 의한 언어학적 측면이 고려되지 않은 언어 교육은 거의 삶을 위한 언어로 문화적 접근을 할 수 없는 기초 수준에 머무른다. 
결국 비전문가에 의한 언어교육은 언어능력을 향상시키지 못하고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도 기여하지 못한다. 
장기적으로 볼 때는 이러한 언어 습득은 오히려 이주 여성들의 생활을 더 어렵게 할 수도 있다.

간혹 텔레비전에 보이는 여성 결혼 이민자는 가족 특히 시어머니, 시아버지 등으로부터 언어를 배운다고 자랑을 하는데 이도 안전한 것은 아니다. 
가족으로부터 언어를 배우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시부모로부터 배우는 언어는 기본 생활을 위한 언어 표현으로 사회생활을 영위해 가는데 부족한 점이 많다. 
그리고 시부모에게 배우는 언어는 사투리 구사 등으로 정확한 의사 전달 기능이 떨어진다. 이렇게 비전문가로부터 언어를 배우면 생존하는 데는 지장이 없지만, 자녀를 키우거나 사회 활동을 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여성 결혼 이민자는 자녀 양육까지 책임지므로 이들에게 한국어 교육은 단순한 의사소통을 떠나 제대로 된 언어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중앙 및 지방정부가 여성 결혼 이민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가장 먼저 이들에 대한 언어 교육은 전문가가 담당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지역 사회의 여성 복지관 등에서 자원봉사자를 활용해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문맹을 벗어나는 도움만 준다. 언어학적 배경이 있고, 발달 단계에 맞는 언어 교육을 하면 효과적인 국어 교육을 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일부 대학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과가 있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이민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가는 것으로 볼 때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학과 신설이 필요하다.

아울러 외국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도 필요하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교육 담당자가 임의적으로 마련한 교재를 이용하는데, 외국인이 우리 문화를 함께 배우는 한국어 교재가 있어야 한다. 
언어 발달 단계가 고려된 교재를 통해서 교육전문가가 실시해야 교육 효과도 높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여성 결혼 이민자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등을 잇달아 마련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이주 여성 긴급전화 1366을 설치함으로써 가정폭력을 비롯해 긴급한 인권침해에 시달리는 이주 여성들을 지원하고 있다.

삶의 기본은 언어가 해결한다. 
외국 여성들은 한국말을 몰라서 이혼 당하고 인권 침해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가정폭력에 노출되고, 자녀들도 부모의 낮은 경제적 지위나 언어문제 등으로 가정이나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다. 
그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최우선이 언어이다. 그들에게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면 많은 문제가 저절로 풀린다.

일부 농촌 가정에서는 결혼 초기에 외국인 신부가 한국말을 잘하게 되면 달아난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 언어 교육에 소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말을 잘 모르면 부부 간의 갈등 해소도 쉽지 않아 가정생활에 해가 된다.

한국어 교육은 인간 존엄성에 대한 가치관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은 빈곤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한국에 온 경우가 많다. 그런데 모국을 떠나 꿈을 안고 우리나라까지 왔는데, 농촌에서 언어 소통 등의 어려움으로 다시 소외받고 있다면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게 된다.

이민 선진국의 경험에 따르면 인구 대비 외국인 체류자가 10%대에 이르면 사실상 '이민사회'가 된다고 한다. 
우리는 아직 3% 이하이지만 지금과 같은 속도라면 10%에 이르는 것은 시간문제다.

국제사회에서 보듯이 자국민과 이주민 사이의 갈등과 차별은 언젠가 폭력적 형태로 표출된다. 이주민에 대한 차별과 소외는 갈등과 충돌을 불러오고 사회의 통합력을 급속히 떨어뜨린다.

이제 우리도 다문화 사회로 가고 있다. 이에 적응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혼 이주 여성으로 농촌 문제와 인구 감소 문제를 동시에 해결했다. 이러한 결혼 문화는 세계화 시대를 맞아 한국사회의 도약과 발전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정부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정책으로 각종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을 펴고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언어정책임을 깨달아야 한다. 
이들을 포용하고 이들과 통합하기 위해서는 언어 교육에서 출발하면 쉽게 해결된다. 언어는 사회로 통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수단이다.


윤재열님의 네임카드

윤재열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