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아이를 대학에 보내 본 엄마의 조언
2012-11-26 12:19:06최종 업데이트 : 2012-11-26 12:19:06 작성자 : 시민기자   김숙자
수능이 끝난 지금 고3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는 가장 중요하고 피말리는 대입시철이다. 내년 2월까지 수험생이 있는 가족 모두에게는 비상계엄상태라고나 할까. 
아이가 대입시에서 떨어져 삼수까지 하는것을 지켜본 부모로써 입시철만 되면 이것저것 생각나는게 참 많다. 어느 부모나 마찬가지로 서울에 있는 이름있는 대학에 보내려는 욕심에서 그랬을 것이다. 
입시를 치르는 자녀를 두신 부모님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싶어 글을 적어본다.

벌써 몇 년전의 일이다.
아이 나름으로 노력을 했지만 부모의 마음이나 조급함, 혹은 기대 또한 크니 숨이 가쁠 지경이었다. 아침 잠자리에서 깨어나 피곤한 아이에게 격려와 성원을 보내주고 첫 번째 수능 시험을 보고 점수를 받았을 때 아이는 절망하고 부모는 마음으로 울었지만 겉으로는 아이를 격려하였다. 그것이 첫 번째 시련이자 재수의 시작이었다.

재수를 하고 다시 수능 고사를 보고 점수를 받았을 때 그 점수를 가지고는 역시 원하는 대학, 원하는 학과에 갈수 없음을 알았을때 그 불운한 시험 운에 또다시 가슴을 쳤지만 아이를 야단칠 수는 없었다.
아이가 열심히 애를 쓰는 모습을 우리는 늘 지켜보고 있었기에 상처를 입을 말 한 마디를 할 수 없었다.

그렇게 재수가 끝난 뒤 우리 가족은 전체회의를 거쳐 아이의 삼수를 결정했다. 물론 아이의 의사가 90%이상 반영된 결정이었다.
삼수를 하는 동안 우리 내외는 아이가 공부 스타일에 맞는다는 학원까지 왕복 두 시간 거리를 마다 않고 태우고 다녔다. 돈 받고 하는 일이라면 벌써 포기하고 말았을 일이었다.

아이를 대학에 보내 본 엄마의 조언_1
아이를 대학에 보내 본 엄마의 조언_1

그렇게 자식 부모간에 애를 쓰고 세 번째 수능시험을 치뤘을 때, 아이의 점수는 보통 수준보다는 약간 더 잘 나왔다. 
그 점수를 가지고 대학에 원서를 쓸 때, 쉬운 일이 아니었다. 조금 더 욕심을 부릴것인지, 아니면 4수를 할수 없으니 안정지원을 할 것인지.

그러나 아이는 그도 저도 아닌, 갈등 끝에 좋은 대학 혹은 유명한 대학을 지원한게 아니라 장래가 유망해 보이는 모 대학에 입학했다. 더 좋은 대학에 욕심 삼아 넣을 수도 있었지만 아이는 미래에 유망한 직업을 선택할수 있다는 것을 감안해 그곳에 갔다. 

그렇게 아이가 지금 휴학을 하고 군대에 간지 1년이 되었다.
입학 당시에 남들보다 3년이 늦었으니 갓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들어간 아이들과 세대차이도 느꼈겠지만 나름대로 잘 적응했다. 미팅은 제녀석보다 선배인 3학년들과 했다나...

입학후 첫 학기에는 그래도 학과에서 제일 좋은 성적을 받아 장학금도 받았다며 좋아라 했다. 나중에 좋은 직장에 취직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아이를 보면서 처음 수능시험 성적을 받아들고 엉엉 울었던 모습이 떠올라'그래도 잘 버텨주어 고맙다'는 생각이 든다.
입시를 치루는 모든 수험생과 학부모님들께 조언을 드리자면 수능시험 성적이 그 학생의 모든 능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학창시철 어느 철학 교수님이 하시던 말씀이 생각난다. 
만일 장자(莊子)가 수능시험 문제를 낸다면, 60만명 모두가 일등 하는 문제를 낼 거라고. 공부는 못해도 노래를 잘 부를 수 있으며, 그림은 못 그려도 운동은 잘 할 수 있고, 다른 능력은 없어도 인간성 하나는 끝내줄 수 있다.
그런데도 수능 점수 하나로 모두를 일렬로 세우니 그것이 전적으로 옳은게 아니고 내 아이가 부족하거나 모자란게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두자. 

명문 대학에만 지원하려고 할게 아니다. 점수에 맞춰 학교와 학과를 선택할것도 아니다.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고, 가장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학과를 선택하는게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일이라고 본다.  지금 잘 나가는 학과보다는 앞으로 어떤 학과가 잘 나갈지를 신중하게 생각해서 선택하는것. 

그리고 이 시간동안 아이들이 기댈 곳은 부모의 가슴 뿐이다. 점수에 울고 웃겠지만 부모님들은 냉정심을 잃지 말고 아이의 통곡의 벽이 되어주기도 하고, 아이의 바다가 되어 주기도 하자. 인생은 대학에서만 끝나는게 아니니까.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