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도시공사, '행복장터' 정상화로 성대하게 열려
장안구민회관, 수원시민이면 누구나 자율적 참여
2023-03-27 10:43:28최종 업데이트 : 2023-03-27 13:26:14 작성자 : 시민기자 홍명후
|
행복장터를 찾은 시민들
행복장터가 추구하는 방향은 '아나바다 운동'이다. 이 운동은 1997년 외환 위기(IMF)가 발생한 이듬해인 1998년에 등장하였으며, 당시의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물자를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말며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을 버리지 말고 다시 사용하자"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자는 캠페인이었다.
이는 어려운 시기에 전국적으로 성공적인 캠페인으로 발전했다. IMF가 끝난 뒤에도 '아나바다 운동'을 여전히 개최하는 장소가 많으며 지자체, 종교단체 행사 때나 차 없는 거리 등 동 단위 행사에 필수로 등장하고 있다. 한마디로 사람이 모이는 행사에 등장하는 운동으로 자리매김했다.
외환위기 시절을 경험한 세대는 정부가 국민에게 아껴 쓰자고 강요한 캠페인이라는 일부 부정적 인식이 있지만, 경제적으로 어렵지 않아도 여전히 가치 있는 운동이라 생각한다. 자원을 낭비하면 환경이 오염되며, 보다 가치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노동력과 자본 또한 낭비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폐기 시설을 그만큼 많이 지어야 하는 부담도 줄일 수 있다.
수원도시공사 관계자는 "행복장터는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자율적 장터이다. 이번에도 날씨가 완연한 봄 날씨로 포근하여 시민들이 많이 참여해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이번에 시민들의 신청을 받은 결과 40여 개 팀이 참여했다고 말했다.
수원도시공사 행복장터 본부석
행복장터의 판매수입은 판매자 수익원칙에 따라 본인들이 다 가져가는 구조이다. 다만, 수익금 일부를 자율적으로 기부하면, 그 기부금은 연말에 사회복지 단체에 전달된다.
현장에서 장난감을 판매한 50대 시민(조원동)에게 어린이 장난감을 전문적으로 파는 것 같아 장난감이 이렇게 많냐고 물어보았다. 그는 "장난감 가게를 운영했었는데, 남은 물건을 가지고 나왔다."라며 물건이 다 팔리길 희망했다. 여러 종류의 어린이 장난감을 파는 시민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파는 시민들
이처럼 '행복장터'는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버리는 물건을 쓰레기로 소각하는 비용도 아끼며 시민 상호 간에 필요한 물건을 저렴한 가격에 상거래 하는 바람직한 사회적 운동이다. 이 운동은 계속하여 장려되어야 한다. 행복장터를 이용하는 많은 시민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