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토박이 서동수 작가 <마을기록자 & 수인선 길 따라> 사진전 개최
고색 출신 59세 토박이 눈으로 평범한 고색동 변천사 기록 선보여
2025-06-16 11:29:44최종 업데이트 : 2025-06-16 13:03:46 작성자 : 시민기자 이영관
|
서동수 작가가 고색뉴지엄 지하1층 전시장에서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고색뉴지엄(관장 이창세)은 6월 13일부터 7월 6일까지 서수원 지역을 사진으로 기록해 온 작가들을 초대해《고색 古索, 다시 찾은 땅》사진전을 개최중이다.
이번 전시에는 고색동에서 나고 자란 서동수 작가가 마을기록가로 참여하고, 서수원 지역 수인선길을 따라 사진으로 기록한 '마음사진터' 동네아카이브팀이 참여한다. 지역의 역사문화유산, 마을 풍경, 사람을 주제로 시간이 흐르면서 바뀌고, 생성되는 서수원 지역의 모습을 촘촘하게 기록한 사진 60 여 점이 전시된다. 서동수(59) 작가를 만났다. 수원 고색동에서 태어나 고색동에서 줄곧 자랐고 이곳에서 결혼해 가정을 꾸렸다. 자식을 낳고 늙어가고(본인 표현임) 있는 평범한 사람이다. 한마디로 고색동을 59년간 지킨 수원토박이다. 1990년대부터 마을을 산책하면서 짬짬이, 틈틈이 사진을 촬영해 모으기 시작했다. 고색동의 마을 변화 모습을 기록사진으로 남긴 것이다. 그는 말한다. "마을에는 마을 기록자가 최소한 한 명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자신의 바람이란다. 서 작가가 그렇게 모아 이번 전시회에 내놓은 작품은 총 62점. 큰 것 20점, 초대형 2점, 미니 사이즈 40점 등이다. 전시 작품 중 지금은 볼 수 없는 장면이 2/3다. 그는 수인전철역 전후로 마을이 완전히 달라졌다고 한다. 그래서 흔하고 평범하고 눈에 안 띄는 것도 역사가 되므로 기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당시에는 볼 수 있었으나 지금 우리가 볼 수 없는 것은? 마을 한가운데를 통과하던 수인협궤철도다. 영신연와 벽돌공장이다. 공장에서 사람이 살고 노동자의 땀 냄새가 삶의 활력소가 되었는데 지금은 허물어져 가고 있다. 현재는 가마터 개방을 앞두고 있다. 너무 멀지 않은 과거 이야기다. 그러므로 근대문화유산도 훌륭한 역사가 된다. 지하 1층 전시장 내부 전경
서동수(徐東洙)는 서양화를 전공한 사진작가다. 현재 직업은 시각디자이너다. 관련업체를 35년간 운영하고 있다. 어려서 소아마비를 앓았지만 좋은 친구들을 만나 그들과 같이 성장해 상처나 마음의 짐 없이 밝게 컸다고 고백한다. 그에게 시각디자인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는 시각디자인을 '우리 눈에 모이는 모든 것에 질서를 찾아주는 일'이라고 정의한다. 예컨대 명함을 하나 만드는데 정확한 위치, 크기, 칼라, 사이즈 등이 보여지는 것을 조정하는 것이라고 한다. 서동수 작 <봄이 처음 오는 기찻길 옆집> (사진=김동수 제공) 서동수 작가의 전시 작품
사진 마음터 작가들의 전시 작품 ![]() 전시장 입구 모습. 두 개의 사진전이 동시에 열리고 있다.
서동수 작가의 <마을기록자 & 수인선 길 따라> 사진전은 고색뉴지엄 특별기획전으로 7월 6일까지 지하전시실(수원특례시 권선구 산업로 85. 전화 031-227-0222)에서 수원특례시 후원으로 열리고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 필자의 전시장 방문객 3대 가족 촬영 장면을 서동수 작가가 기록으로 남겼다. (사진=김동수 제공)
![]()
연관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