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봄 하늘 같은 사람아
최정용/시인, 에코마린뉴스 대표기자
2016-05-14 10:50:38최종 업데이트 : 2016-05-14 10:50:38 작성자 : 편집주간   김우영

봄 하늘 같은 사람.
누군가 그대를 이렇게 부른다면 어떤 기분일까요. 아마 좋으실 겁니다. 긴 겨울 기다려 맞이하는 봄, 것도 하늘이라니 얼마나 고울까요. 나를 그런 사람으로 본다니 고마운 일이라 생각되겠지요.
이 말은 몽골의 속담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그리 좋은 말이 아닙니다. 변덕이 심한 사람이란 뜻이니까요. 그만큼 몽골의 봄은 변화무쌍한 날씨를 자랑합니다. 수도인 울란바타르는 조금 나은 편입니다. 건물들이 바람막이를 해주니까요. 그러나 울란바타르를 조금만 벗어나면 바람이, 바람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바람을 막아주는, 제대로 된 산하나 없이 온통 초원입니다. 걸러낼 것 없으니 바람도 거칠 것이 없습니다. 게다가 모래까지 동반하는 경우에는 아, 상상초월 그 이상입니다. 

5월의 크리스마스.
조금 전 몽골 울란바타르에서 살고 있는 친한 형님이 사진과 함께 보내온 글입니다.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오늘이 5월 11일. 폭설(暴雪)이랍니다. 당신이 경험한 눈 가운데 가장 더운 날 오신 분이랍니다. 10년 전 5월 5일 내렸던 기록을 깼다네요. 몽골 친구인 에르덴 불간(Erden Bulgan)이 5월 1일 폭설이 내렸다면서 보내준 사진을 보고 놀랐는데 열흘 후 또 폭설이라니. 황사(黃砂)의 발원지로 꼽히는 몽골도 이상기온이 심화되나 봅니다.

때늦은 폭설이 걱정되는 이유는 이 때문입니다.
(사)휴먼몽골사업단이 26~30일까지 몽골 에르덴솜 수원 시민의 숲 식목행사를 위해 몽골에 갑니다. 해마다 5월이면 거칠 것 없는 모래바람 속에서 1만여 그루의 나무를 심느라 '사서하는 고생'을 해오고 있습니다. 모래바람 견디기도 힘든데 폭설이라니요. '스스로 돕는' 우리를 하늘도 돕겠지요. 그런 낙관으로 기다립니다, 그날을.

몽골 사막화 방지사업은 2011년 첫 발을 디뎠습니다. 해마다 1만 그루 씩 심었으니 지속가능한 몽골사막화방지사업의 모범입니다. 단발적으로 나무심기를 하는 조직은 한국에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7년째 지속적으로 숲을 조성하는 단체는  (사)휴먼몽골사업단이 전무후무(前無後無)할 겁니다. 이것이 가능한 까닭은 환경운동가 출신인 염태영 수원시장의 암묵적 지원과 (사)휴먼몽골사업단 최중한 이사장을 비롯한 회원들의 헌신이 있기에 가능했습니다. 해마다 5월이면 나무 심을 생각에 가슴이 몽실몽실해 지는 사람 가득한 조직이 (사)휴먼몽골사업단입니다.

봄 하늘 같은 사람아_1
봄 하늘 같은 사람아_1

수원 시민의 숲이 있는 에르덴솜은 수도인 울란바타르에서 40㎞ 떨어진 작은 시골 마을입니다. 주변은 물론, 사막이지요. 2011년 처음 그 곳을 찾았을 때 말 그대로 '황량(荒凉)'했습니다. 또 암담하기도 했습니다. 이곳에 나무를…. 언감생심(焉敢生心)이었지요. 
그러나 재미는 그런 곳에서 시작됩니다. 누구나 할 수 있으면 무슨 재미겠습니까. 아무도 하지 못하는 일에 대한 도전이 삶의 원동력이지요. 

우선 몽골 토양에 적합한 수종(樹種)을 선택하는 일이 급선무였습니다. 한국과 토질과 기후가 완연히 다르니 헛발질은 당연지사지요. 여러 번의 실패 끝에  선정된 수종이 비술나무와 버드나무, 우흐린누드, 차차르간입니다. 조림지 주변 방풍목으로는 포플러가 선정됐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생존율이었습니다. 영하 40도를 넘나드는 몽골의 긴 겨울을 견딜 수 있을까, 걱정은 토네이도처럼 밀려왔습니다. 첫 해인 2011년 겨울은 그래서 더욱 길었습니다. 태어나자마자 인큐베이터에 들어간 자식을 바라보는 부모의 심정이 그랬을까요. 

그러나 역시 '하늘은 스스로 돕는 우리'를 도왔습니다. 첫해 생존율 88.89%. 1만 244그루를 심어 7천464그루가 살아남은 겁니다. 그때의 감격은 잊을 수 없습니다.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로 몰아치던 모래바람도 도처에 널려있던 설치류의 시체를 치우는 일도 모두 지난 일이었지요. 다음해인 2012년에는 1만 464그루를 심었고 생존율은 89.16%였습니다. 2013년부터 기존 1만 그루 심기에서 2만 그루 심기로 전략을 바꿨습니다. 사막화 방지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도부의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그 해 2만 255그루를 심었고 1만 8천 787그루가 살았습니다. 2014년에는 2만 41그루를 심어 1만 7천 404그루가 생존했습니다. 지구가 점점 앓고 있는 때문일까요? 2015년에는 2만 268그루를 심어 1만 4천 457그루 밖에 살지 못했습니다. 생존율 71.3%. 역대 최악입니다. 그런 까닭에 올해 몽골가는 마음은 조금 무겁습니다. '스스로 돕는 일' 밖에 할 수 있는 것이 없으니 '스스로 돕겠다는 마음하나' 들고 갑니다. 

그까짓 나무 한그루 심는다고 사막화와 황사를 막을 수 있겠냐고 비아냥거리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까짓 한그루 나무의 힘을 믿습니다. 그 믿음으로 5월 26일 몽골행 비행기에 오릅니다.

그 길에 염태영 수원시장과 김동연 아주대학교 총장도 동행합니다. 염시장이야 경험과 애정이 있으니 문제없습니다만 김총장께서 모래바람을 견딜 수 있을까, 걱정입니다.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