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도서관은 공공성을 배우는 장소
양훈도/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외래교수
2013-07-14 13:01:05최종 업데이트 : 2013-07-14 13:01:05 작성자 : 편집주간   김우영

터키 에페수스 유적지에 가면 셀수스(Celsus) 도서관 터가 남아 있다. 서력기원 2세기에서 3세기에 걸쳐 융성했던 도서관이다. 지금 남아 있는 2층 전면(全面)으로 미루어 짐작컨대 초대형 도서관이 틀림없다. 당시엔 세계 3대 도서관으로 꼽혔다나. 두루마리 책이 무려 1만2천권이나 갖춰져 있었단다. 그 무렵 1만2천권이면 없는 책이 없는 도서관 맞다. 

셀수스는 독서광이었던 로마의 아시아총독 이름인데, 그를 기리기 위해 그의 아들이 아버지 묘위에 도서관을 지었다. 흥미로운 건 도서관 맞은편에 있는 대형 목욕탕 터다. 현지 가이드에게 들은 바로는 셀수스 도서관과 목욕탕 사이에 비밀 통로가 있었다고 한다. 책 읽다가 피로하면 슬쩍 그리로 빠져서 목욕을 즐기고 돌아오곤 했다는 것이다.

수원시내 공공도서관들이 얌체 이용객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기사가 아침 신문에 실렸다.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데 기사가 또 등장한 걸 보면, 도서관들이 요 며칠 중고교 기말고사 기간에 유례없이 시달린 듯하다. 시험 기간이면 공공도서관은 도떼기시장을 방불케 한다. 공부하러 오는지 떠들러오는지 분간이 안 되는 학생들이 열람석을 온통 점령해 버린다. 

사서들의 열람지도? 별 소용이 없다. 주의를 주면 그 때 뿐이고, 사서가 지나가고 나면 다시 벌집 같아지기 일쑤다. 얌체 짓도 가지가지다. 오전에 문을 열기 전부터 엄마 아빠까지 동원해 자리를 맡는 소동이 벌어진다. 이용희망자에 비해 열람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자리를 차지했음에도 소지품 등을 놓아두고 나가서 돌아올 줄 모른다. 대기자들이 발을 구르건 말건 내 알 바 아니라는 식이다.

일부 도서관에서는 2시간 이상 자리를 비울 경우 강제 퇴실 조치를 하도록 돼 있다. 물론 떠들고 소란을 피우면 퇴장시킨다는 규정도 있긴 하다. 하지만 실제론 쓸모가 없다. 이용자들이 강력 항의하기 때문에 지켜질 수가 없다. 뭐 뀐 놈이 성낸다는 속담 그대로다. 

심지어 학부모들이 공공도서관장에게 민원을 제기한다. 그 도서관 사서가 부당하게 우리 아이를 고압적으로 야단쳐서 아이가 마음에 상처를 입었다. 책임져라. 이 경우 자신의 아이가 무슨 일을 했는지는 전혀 문제 삼지 않는다. 도서관 민원담당 사서는 죽을 맛이라고 한다. 
상식적인 대화가 전혀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런 학부모는 같은 민원을 반복적으로 제기하거나, 상급 기관에 민원을 넣기도 한다. 상급 기관에서는 불문곡직 해당 사서가 사과하고 마무리 짓기를 은근 종용한다. 공공성이고, 자존심이고 다 접고…. 그러니 민원 제기에 맛 들린 이용자가 늘어날 수밖에.

지난 10여년 사이 공공도서관이 꽤 많이 늘었다. 인구수 대비 도서관 수가 여전히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지만, 아무튼 반가운 현상이다. 
하지만 도서관 이용 매너가 이런 수준이라면 도서관 증가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반문해 봐야 한다. 전시효과를 노리는 게 아니라면 공공도서관 정책은 이제 운영 방식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체계로 바뀔 필요가 있다. 

도서관은 공공성을 배우는 장소_1
도서관은 공공성을 배우는 장소_1

공공도서관은 공공의 지적 재산을 제멋대로 사유화하라고 존재하는 공간이 아니다. 공공도서관은 공공성의 의미를 깨닫고, 공공의 규율을 받아들이며, 공공성을 함께 함양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타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는 절대 해서는 안 되며, 설령 잘 모르거나 부주의해서 그런 일을 저질렀을 경우엔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달게 받아들여야 한다는 걸 엄격하게 익히는 공간이어야 한다. 공공도서관은 단순한 서비스 기관이 결코 아닌만큼 말 같지 않은 민원은 무서워 할 게 아니라 더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

언젠가 TV에서 이스라엘의 도서관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다. 그 도서관에는 책 대신 일대일로 마주앉아 토론할 수 있는 큰 방이 마련돼 있었다. 나이 지긋한 랍비와 젊은 학생들이 그 큰 방에 가득 들어앉아 진지하게 토론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를 놓고 멘토 랍비들과 진지하게 끝없는 토론을 이어갔다. 

그렇다. 21세기 도서관이 중세 수도원 같은 엄숙주의를 더 이상 고집할 이유는 없다. 책을 물신화하는 빗나간 신성 공간이어서도 곤란하다. 유쾌하고 발랄하고 시대감각에 맞는 자유분방함이 우리의 공공도서관에서도 허용되어야 한다.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젠 학교에서도 잘 가르치지 않는 공공성을 배우고 익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그게 바로 공공도서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가 부러워해야 할 것은 셀수스 도서관 같은 초대형 하드웨어가 아니다. 지킬 건 지키는 소프트웨어다.

※뱀발; 작가 호르헤 보르헤스는 "천국이 있다면 도서관 같을 것"이라고 했다 한다. 하도 책을 읽어 말년에 시력을 잃었다는 도서관 사서 출신답다. 보르헤스는 아르헨티나 국립도서관장을 지냈다, 만약 그가 부활해서 수원 공공도서관을 방문한다면 그래도 "도서관이 천국"이라고 할까? 제발 그래야 할 텐데….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