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정조의 봄날, 춘궁(春宮)의 하루
최형국/문학박사, 수원문화재단 무예24기시범단 수석단원
2014-03-30 11:19:17최종 업데이트 : 2014-03-30 11:19:17 작성자 : 편집주간   김우영

조선시대 국왕의 뒤를 이을 세자는 책봉과 함께 다양한 왕실교육을 받게 되었다. 그래서 후사를 이어야 하므로, 궁궐의 '떠오르는 태양'과 같은 동쪽을 생활공간으로 지정하였다. 
그 이름도 동궁(東宮) 혹은 춘궁(春宮)이라 불러 만물의 시작과 세자의 삶을 동일시 여겼다. 

정조는 졸지에 아비를 잃고 갑자기 세자로 책봉되어야만 했다. 정조에게 세자의 직위는 곧 억울하게 삶을 등진 아비의 한을 담은 자리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보통 세자들의 삶은 따스한 봄날의 하루로 연결되지만, 정조에게 세자의 삶은 서릿발 가득한 차가운 봄날의 연속이었다. 그런 그에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중 먼 청나라의 다양한 문물에 대한 관심과 공부는 진정한 조선의 봄날을 꿈꾸게 만든 신선한 이야기꺼리였다. 

정조가 세자시절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신하는 바로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이었다. 그는 18세기 실학파의 시작을 알렸던 인물로 북학파의 절대스승과도 같은 인물이었다. 특히 1776년 작은 아버지인 홍억이 청나라로 가는 사신인 연행사의 서장관으로 임명되자 수행군관 즉 개인비서의 역할로 60일 동안 청나라의 속살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왔기에 당시 그 누구보다 청나라의 문물을 잘 알고 있었다. 
또한 청나라에 가기 전부터 수학이나 천체물리학 등 다양한 서양학문을 접하고 나름 조선만의 새로운 사유체제를 만들고 있었기에 연행사와의 동행은 북학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체험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정조의 봄날, 춘궁(春宮)의 하루_1
중국 선비 엄성이 그려준 홍대용 초상. 홍대용의 북경 여행은 그 자신에게도 충격의 연속이었다. 그 문화적 충격을 자양분 삼아 북학을 바탕으로 한 실학이 펼쳐진 것이다. 실학이 말하는 '비록 오랑캐의 것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통해 백성들의 일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면 그것은 진정으로 백성의 삶을 살찌우는 좋은 일이다'라는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정신이 필요한 오늘이다.

그런 그가 정조의 세자시절 일종의 가정교사의 형태로 만나게 된 것은 북학에 대한 발전을 의미하기도 한 것이었다. 세자는 서연(書筵)이라고 하는 일종의 대화식 공부를 지속하였다. 그 서연의 대화상대로 홍대용이 뽑혀서 정조와 수많은 이야기를 나누게 된 것이다. 

정조는 호학군주(好學君主)라 불릴 정도로 학문에 깊은 뜻이 있었기에 홍대용과의 대화는 그 자체로 세자인 정조의 갈증을 풀어주기 충분했다. 특히 홍대용이 연경에서 보고, 듣고 체험한 이야기를 하나하나 풀어주면 세자였던 정조는 눈을 반짝거리며 깊이 빠져 들곤 했다. 

문제는 당시 사회 지배층들이 북학에 대해서는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었던 때라 서연에서도 쉽게 이야기할 부분이 아니었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라는 옛 속담처럼 혹여 누군가 그들의 이야기를 엿듣고 국왕이 영조에게 고해 받친다면 경을 칠 일이기도 했기 때문이었다. 
그 이야기들의 핵심에 개혁이 담겨 있었다. 홍대용은 청나라에서 보고 느낀 것 중 놀고먹는 사람은 줄이고 생산하는 자를 늘리는 사회 운영방식에 대해서 조리 있게 설명을 하였다. 정조는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조선후기 사회를 병들게 했던 과거제도, 신분제도, 관료제도에 대한 개혁의 청사진을 그리는 시간으로 풀어냈다.

이처럼 세자시절 정조의 봄날은 뭔가를 구상하고 배워가며 미래를 그려 보는 시간이었다. 자연 또한 봄날에 따스한 햇살과 양분이 여름의 신록과 가을의 풍성한 수확을 기대하는 충전의 시간이다. 정조는 그 봄날을 잘 채워 낼 수 있었기에 조선후기 가장 화려한 문예부흥과 사회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다. 거기에는 좋은 선생님이 필수적인 것이다. 제 아무리 타고한 사람일지라도 좋은 선생님을 만나지 못한다면 올곧게 성장할 수 없을 것이다.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듯 내 몸에서 춘곤증이 밀려오는 봄날이다. 그 봄날 좋은 선생님을 찾아 작은 이야기에도 귀를 기울여 보자. 아니면 좋은 책을 선생님 삼아 보다 의미 있는 봄날을 펼쳐보자. 
혹시 누가 알랴. 그 배움의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송두리째 바꿀 수 있는 소중한 인연을 만날지도 모른다. 두드리지 않으면 열리지 않는다. 봄날 우리 함께 두드려 보자.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