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화성 성돌 뜬 곳, 어디?…스토리 있는 여행 발굴
팔달산‧숙지산‧여기산 등지서 쐐기흔적 쉽게 찾을 수 있어
2019-11-11 14:53:10최종 업데이트 : 2019-12-02 13:20:49 작성자 : 시민기자   하주성
수원화성 성벽에 남아있는 돌을 뜨기 위해 쐐기를 박았던 흔적(붉은 원안)

수원화성 성벽에 남아있는 돌을 뜨기 위해 쐐기를 박았던 흔적(붉은 원안)

가끔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지인들로부터 연락을 받을 때가 있다. 한 인터넷 언론에 몇 년 동안 1500건이 넘는 문화재에 관한 기사를 송고하다보니 나름 그 방면에서 이름을 알고 있는 듯하다. 가끔은 사진 자료를 요청하기도 하고, 계절에 맞는 문화재 여행에 대해 좋은 곳을 안내해 달라고 부탁도 받는다. 수원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이 부쩍 늘었다. 화성을 돌아보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이어진다.

수원화성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자 국가지정 사적 제3호이다. 그만큼 문화재로써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기자는 수원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한 가지 제안하는 것이 있다. 수원화성을 돌아보면서 화성을 느끼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화성을 쌓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들을 했는지, 또 성을 쌓은 돌은 어디서 가져온 것인지를 돌아보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고 설명한다.       
  
흔히 성돌을 뜬 곳을 '부석소'라고 한다. 큰 바위를 나르기 좋게 잘라 화성축성의 현장까지 옮겨왔다. 수원 팔달산, 숙지산, 여기산 등을 찾아가보면 돌을 떴던 큰 바위에 쐐기자국이 남아있다. 바위를 잘라내기 위해서 홈을 파 그곳에 나무쐐기를 박고 물을 부어, 나무가 부풀어 올라 바위를 쪼개낸 현장이다. 그런 현장을 돌아보면 수원화성이 얼마나 많은 노력으로 축성 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
팔달산 바위에서 쐐기흔적을 발견하고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기자가 팔달산 바위에서 쐐기흔적을 발견하고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서장대 성 밖에도 바위에 쐐기자국이 보인다

서장대 성 밖에도 바위에 쐐기자국이 보인다.

팔달산 곳곳에 남아있는 돌 뜬 흔적
9일 오전, 수원을 찾아 온 지인들을 인내하여 지동순대타운에 들러 순대국밥을 한 그릇씩 먹은 후에 우선 화성을 돌아보는 것으로 돌을 뜬 곳을 찾아나섰다. 먼저 바로 화성을 쌓은 돌에 남아있는 쐐기자국을 이들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억새가 피어 아름다운 동남각루를 지나 화성을 돌면서 성벽에 남아있는 쐐기자국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찾아간 곳은 팔달산에 있는 성돌을 뜬 흔적이다. 수원시 팔달구 팔달산로 318(교동) 팔달산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수원중앙도서관 옆으로 팔달산으로 오르는 소로가 있다. 이곳을 걸어 팔달산 위 수원화성 성벽을 보고 오르면 4기의 고인돌이 있다. 그리고 그 위에 성돌을 떠내느라 파 놓은 쐐기자국이 남아있다.

성을 쌓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석재이다. 화성 축성 시 사용한 석재는 모두 20만1403덩어리로, 이를 가격으로 환산하면 13만6960냥9전이었다고 한다. 이는 수년 전 진단학회와 경기문화재단이 공동으로 개최한 '화성성역의궤의 종합적 검토'라는 제목의 심포지엄에서 경기대 조병로 교수가 밝힌바 있다.

팔달산 위로 올라 화성 성벽을 따라 성 밖으로 걷다보면 여기저기 바위가 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깨진 돌을 찬찬히 살펴보면 쐐기자국을 찾을 수 있다. 나는 문화재를 안내할 때 꼭 지키는 것이 하나 있다. 현장 입구까지만 안내하고 정작 현장은 스스로 찾게 만든다. 그래서 자신이 필요한 문화유적을 찾았다는 즐거움을 느끼게 되고 오래도록 문화재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숙지산 다산도서관 뒤편 바위에 남아있는 쐐기흔적

숙지산 다산도서관 뒤편 바위에 남아있는 쐐기흔적.

숙지산에는 돌을 뜬 부석소라는 안내석이 보인다

숙지산에 돌을 뜬 부석소라는 안내석이 보인다.


가을이 짙어진 숙지산 부석소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에 소재하고 있는 숙지산은 화성을 축성하면서 가장 많은 돌을 뜬 곳이다. 숙지산이 있는 곳의 옛 지명은 '공석면(空石面)'이었다. 그야말로 돌이 비었다는 뜻이다. 이곳에 돌이 많다는 채제공의 보고를 받은 정조는 1796년 1월24일 수원에서 환궁하는 길에 이렇게 말했다. "오늘 갑자기 단단한 돌이 셀 수 없이 발견되어 성 쌓는 용도로 사용됨으로써, 돌이 비워지게(空石) 될지 누가 알았겠는가? 암묵 중에 미리 정함이 있으니 기이하지 아니한가?"라고 했단다.

산에서 돌을 뜨는 자리를 '부석소(浮石所)'라고 했으며, 각 부석소에서 캐낸 돌의 양을 보면 실로 어마어마하다. 그 양이 숙지산 8만1천100덩어리, 여기산 6만2천400덩어리, 권동 3만2천덩어리, 팔달산 1만3천900덩어리 등 18만9천400덩어리였다. 화성 축성에 사용된 돌들을 거의 모두 이 네 군데에서 떠냈다.

가을이 깊은 숙지산의 돌뜬 흔적은 여러 곳에 보인다. 그중 가장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곳이 화서다산도서관 뒤편에 있는 흔적이다. 여러 곳에서 돌을 뜬 후 수레를 이용해 돌을 화성 축성역장으로 날랐다. 돌은 소 40마리가 끄는 수레인 대거, 소 4~8마리가 끄는 수레인 평거, 소 한 마리가 끄는 수레인 발거와, 장정 4 사람이 끄는 수레인 동거 등이 있었다. 이렇게 수레를 이용해 축성현장까지 돌을 옮겼다.

선사유적지가 있는 여기산에는 토축산성이 남아있다

선사유적지가 있는 여기산에 토축산성이 남아있다.

여기산 바위에 남아있는 쐐기흔적

여기산 바위에 남아있는 쐐기흔적.

선사유적지 있는 여기산에서도 성돌 떠내
서호를 내려다보는 구릉처럼 솟아있는 산, 바로 여기산이다. 여기산(麗岐山)은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구 농촌 진흥청 내에 위치하고 있는 해발 104.8m의 산이다. '화성성역의궤'에는 '여기산(如岐山)'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산세가 크지 않고 산의 모습이 기생의 자태와 같이 아름다워서 '여기산(麗岐山)'으로 불렀다고 한다. 산의 정상부에는 토축산성이 조성되어 있는데, 해발 104.8m로부터 10여m 아래에 쌓여 있는 것이 특색이다. 전형적인 머리띠 모양의 테뫼식으로 성 길이는 약 453m이다.

길 우측 아래로 거대한 바위가 보인다. 이곳은 정조대왕이 화성을 축성할 때 돌을 뜬 곳으로 기록되어있다. 조심스럽게 아래로 내려가 본다. 바위의 크기가 엄청나다. 어른 키의 몇 배가 되는 거대한 바위에 돌을 떠내기 위한 쐐기자국이 보인다. 절개된 바위 면에 선명하게 쐐기를 박기 위해 파 놓았던 구멍이 있다.

가을, 여행하기 좋은 계절이다. 이 계절에 수원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좀 더 스토리가 있는 여행을 하라고 당부하고 싶다. 단지 지나치면서 수원화성을 관람하는 것에 그치지 말고 좀 더 알차고 내실있는 여행을 할 수 있도록 말이다.

부석소, 수원화성, 성돌, 팔달산, 숙지산, 여기산, 답사

연관 뉴스


추천 2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독자의견전체 0

SNS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icon 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