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성남·고양 제외 경기 모든 시·군 버스준공영제 동참
내년 1월 1일 시행…재정부담 연간 600억원
2017-09-07 15:41:20최종 업데이트 : 2017-09-07 15:41:20 작성자 :   연합뉴스

성남·고양 제외 경기 모든 시·군 버스준공영제 동참
내년 1월 1일 시행…재정부담 연간 600억원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경기도는 내년 1월 1일 시행하는 광역버스(직행좌석형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도내 22개 시·군이 동참한다고 7일 밝혔다.
지난 7월 경기도-시·군 상생협력토론회에서 참여 의사를 밝힌 15개 시·군에서 7개 시·군이 늘어났다.
광역버스 인·면허권을 가진 수원·용인·광명·김포·파주·안산·안양·시흥·포천·양주·남양주·구리·화성·하남·광주·가평 등 16개 시·군과 노선이 경유하는 부천·의정부·군포·의왕·과천·오산 등 6개 시다.
평택·이천·안성·여주·양평·동두천·연천 등 7개 시·군은 현재 운행하는 광역버스가 없는 만큼 성남과 고양을 제외한 도내 모든 시·군이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게 되는 셈이다.



버스준공영제는 서울·인천 등 6개 광역시처럼 공공기관이 수입금을 관리하고 운행실적에 따라 원가를 보전해 주는 방식(수익금공동관리제)으로 운영된다.
경기도와 22개 시·군이 50%씩 재정을 분담하고 중장기적으로 경기도가 인·면허권을 각 시·군으로부터 회수하게 된다.
버스준공영제는 버스의 가동률을 높여 입석률을 낮추고 운전기사의 근로여건을 개선해 안전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대신 지자체는 예산 지출이 늘어난다.
도 관계자는 "도내 전체적으로 160개 노선에 2천여대의 광역버스가 운행 중이며 성남·고양의 400여대를 제외한 1천600여대가 준공영제 대상"이라며 "준공영제 시행에 따라 도와 22개 시·군이 내년도에 부담해야 할 재정은 600억원 내외로 추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남시와 고양시는 재정부담과 일반버스와의 형평성 등을 불참 이유로 밝히고 있지만, 정치적 이유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과 관련한 도-시·군 협약 동의안은 지난 4일 도의회 소관 상임위원회인 건설교통위원회를 통과했으며 오는 12일 본회의에서 최종처리될 예정이다.
도는 도의회 의결을 거쳐 이달 중에 22개 시·군, 경기버스조합과 광역버스 준공영제 협약을 맺을 계획이다.
c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