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연합이매진] 제주 속살 보여주는 오름과 숲
2017-12-08 08:01:03최종 업데이트 : 2017-12-08 08:01:03 작성자 :   연합뉴스

(제주=연합뉴스) 이창호 기자 = "선이 부드럽고 볼륨이 풍만한 오름들은 늘 나를 유혹한다. 유혹에 빠진 나는 이곳을 떠날 수 없다. 달 밝은 밤에도, 폭설이 내려도, 초원으로 오름으로 내달린다. 그럴 때면 나는 오르가슴을 느낀다. 행복감에 가쁜 숨을 몰아쉬며 살아 있음에 감사한다."
제주에 홀려 제주 사진만을 담았던 고(故) 김영갑 사진작가는 에세이 '그 섬에 내가 있었네'에서 오름에 대한 사랑과 열정을 고백한다. 오름은 자그마한 화산을 의미하는 제주어로, 368개의 크고 작은 오름이 섬 전체에 흩어져 있다. 오름은 그리 높지 않고 주변 경관도 감상할 수 있는데 그 이름 또한 새별오름, 아부오름, 용눈이오름, 다랑쉬오름, 군메오름 등 다양하고 독특하다.
거문오름(456m)은 1년 동안 하루에 한 개씩 올라도 다 못 오를 정도로 많은 오름 중에 으뜸으로 꼽힌다. 나무가 무성해 검게 보인데서 이름 붙여진 거문오름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모태다.
김명자 자연유산해설사는 "거문오름에서 분출된 용암이 벵뒤굴, 만장굴, 당처물동굴, 용천동굴 등을 거쳐 바다로 흘러내려 갔다"면서 "거문오름은 북동쪽 산사면이 터진 말굽형의 형태로 다양한 화산지형들이 잘 발달해 있다"고 말한다.
천연기념물 제444호인 거문오름은 2009년 환경부 선정 생태관광 20선, 2010년 한국형 생태관광모델 10선, 2013년 한국관광공사 선정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될 만큼 생태관광의 메카로 자리매김했다.
거문오름 탐방은 사전예약제로 하루 입장객을 450명으로 제한하고 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30분 간격으로 자연유산해설사와 함께 탐방할 수 있는데 오름의 나무나 흙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등산화나 운동화를 신어야 한다. 우산, 스틱, 아이젠 등은 가지고 들어갈 수 없다. 물 이외의 음식물은 반입할 수 없다.
탐방로는 분화구 위에서 주변만 조망할 수 있는 정상 코스(1.8㎞, 1시간), 분화구 내의 알오름과 역사유적지를 두루 볼 수 있는 분화구 코스(5.5㎞, 2시간 30분), 분화구와 정상을 둘러보는 전체 코스(10㎞, 3시간 30분) 등 3개 코스로 나뉜다.
탐방로에 들어서면 맨 먼저 아름드리 삼나무 군락이 반긴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곧게 뻗은 나무를 올려다본다. 하늘을 배경으로 푸르게 솟은 나무는 생(生)이 얼마나 경건하고 아름다운지 온몸으로 보여주고 있다.
나뭇가지 사이로 부는 바람 소리에 귀가 맑아지고 마음의 티끌마저 사라진다. 전망대에 오르자 탐방객들은 "쾌청한 날씨 덕에 단풍 옷을 갈아입은 한라산과 정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며 감탄사를 연발했다. 이어 정상에 오르자 백록담보다 큰 말굽 모양의 분화구와 깊게 팬 분화구 안에 알을 품은 듯 솟아 있는 알오름이 한눈에 들어온다.
1코스 끝이자 2코스 시작점
[연합이매진] 제주 속살 보여주는 오름과 숲

[연합이매진] 제주 속살 보여주는 오름과 숲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