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소중한 어업유산]① 물 빠진 저수지 바닥 가래치기
강진 명물…원통형 바구니로 물고기 가둬 잡는 방식 한해 논농사 끝내고 수확을 자축하는 축제의 하나
2017-06-23 09:27:13최종 업데이트 : 2017-06-23 09:27:13 작성자 :   연합뉴스
[소중한 어업유산]① 물 빠진 저수지 바닥 가래치기_1

[소중한 어업유산]① 물 빠진 저수지 바닥 가래치기
강진 명물…원통형 바구니로 물고기 가둬 잡는 방식
한해 논농사 끝내고 수확을 자축하는 축제의 하나

[※ 편집자 주 = 4차 산업혁명을 관통하는 시대라지만 기초 식량 산업으로서 어업의 가치는 아무리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어업자원은 유구한 세월, 바다를 터전으로 한 선조들과 현대인의 삶에 대한 인식을 엿보게 하는 소중한 자산이기도 합니다. 특히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섬과 연안을 끼고 있는 전남에는 생계뿐 아니라 마을 공동체 유지 수단으로서 전통 어업유산이 다양하게 내려져 왔습니다. 그러나 일부는 어구의 발달과 함께 어족자원과 기후변화 등으로 명맥이 끊길 위기에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소중한 어업유산의 가치를 조명해 복원·보존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자 전남에서 전해지는 9가지 전통어업을 매주 금∼일요일 3주에 걸쳐 소개합니다.]

(강진=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요즘 가래치기를 할 때 북적이는 마을을 보면 참 기분이 좋아요."
전남 강진 명물인 가래치기를 설명하는 이형배(68)씨의 표정에는 즐거움 속에 애잔함이 묻어났다.
가래치기는 예나 지금이나 낚시 본연의 기능보다 마을 공동체의 결속력을 다지는 행사로서 성격이 짙다.

강진군 병영면 중고리 일대에서는 한해 논농사를 끝내고 서로를 격려하는 의미로 가래치기 행사를 치러왔다고 한다.
조용한 동네잔치로 간신히 명맥을 이어오던 전통은 재현 행사에 자치단체 등이 관심을 보이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졌다.
가래치기는 추수 후 병영면 일대 중고·요등·죽산 저수지 등에서 가래를 이용해 가물치, 붕어, 메기 등을 가둬 잡는 방식이다.
무릎 위나 허리춤만큼 물이 빠진 저수지 바닥 여기저기를 가래로 쑤셔 물고기를 가둔다.
물고기가 가래로 들어왔을 때 떨림으로 느끼는 미묘한 손맛이 일품이다.
가래는 대나무를 삶은 뒤 줄로 엮어 만든 원통형 바구니다.
위는 좁게, 아래는 넓게 뚫려있다.

병아리를 가둬 키우는 도구로도 알려졌지만, 이 지역에서는 수렁에서 물고기를 잡는 데 애용해왔다.
요즘에는 하나에 6만∼7만원에 팔리기도 하지만 수요가 사라지면서 제조 기술자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물고기를 잡는 것은 물론 마을 자랑거리인 연뿌리도 채취할 수 있어 주민에게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이씨는 몇 년 전 4㎏짜리 가물치를 잡기도 했다고 무용담을 늘어놨다.
행사가 외부에 차츰 알려지면서 이제는 외지인들도 제법 눈에 띈다.
통일벼를 재배하던 시절에는 행사를 10월에 했지만 최근 11월로 행사 시기가 미뤄졌다.
주민들은 가래치기로 잡은 물고기를 마을회관으로 가져다가 매운탕을 끓여 먹는다.
농사짓는 사람도 없어질 판에 외지인이 몰려들어 북적이는 모습을 보면 한때나마 활력을 얻는 것 같다고 마을 주민들은 즐거워한다.
1970년대 130가구에 달했던 중고리는 지난해 48가구로 인구가 줄었다.
이씨는 "가래치기는 농사짓느라 고생한 주민들이 한해 노동을 마무리하는 동네잔치"라며 "저수지도 자기 할 일을 다 했으니 자연과 함께 수확을 자축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마을 토박이의 바람은 소박하다.

그는 "농사짓는 사람들, 저수지, 연꽃, 가물치와 붕어, 가래 만드는 노인 등 우리 마을 하면 떠오르는 것들이 지금처럼 계속 남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sangwon7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