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단독] 박춘풍·김하일·조성호…살인범들 시신 훼손하는 이유는
"과학수사에 맞선 은폐 욕구"…CCTV 발달도 한몫
2016-05-11 06:56:36최종 업데이트 : 2016-05-11 06:56:36 작성자 :   연합뉴스
[단독] 박춘풍·김하일·조성호…살인범들 시신 훼손하는 이유는_1

[단독] 박춘풍·김하일·조성호…살인범들 시신 훼손하는 이유는
"과학수사에 맞선 은폐 욕구"…CCTV 발달도 한몫

(의정부=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박춘풍, 김하일, 조성호 등은 피해자의 시신까지 훼손한 잔혹한 살인사건의 피의자들이다. 그만큼 세간에 준 충격도 더 클 수밖에 없다.
'화성 육절기 살인사건'과 '부천 초등생 시신훼손 사건' 등 사체 훼손과 유기사건이 잇따르면서 왜 이런 흉악한 사건이 이어지는 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수사 전문가들은 사람을 살해한 것도 모자라 시신까지 훼손하는 범죄 행태에 대해 "과학수사에 맞서 범행을 완전히 은폐하려는 범죄자의 욕구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또 범행수법 등이 자세하게 드러난 언론보도 등에서 접한 내용을 나중에 무의식적으로 따라 하게 되는 '악순환'이 원인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 "CCTV 등 감시망 발달해 증거 최소화하려다 보니 시신 훼손"
지난 1일 경기도 안산 대부도 내 불도방조제 입구 근처 배수로에서 마대에 담긴 남성 하반신 시신이 발견됐다.
피의자 조성호(30)씨는 함께 살던 피해자를 흉기로 수차례 찔러 살해한 뒤 시신을 절단해 이곳에 유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11일 "살인을 저지르고 나서 가장 부담을 주는 것이 범죄자 본인의 눈앞에 시신이 있다는 사실"이라면서 "일단 빨리 시신의 부피와 무게를 줄여서 눈앞에 안 보이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경우처럼 시신훼손은 대부분 원한이나 치정 등 감정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 지인이 범인일 경우가 많다.
지난해 4월 시흥시 시화호 오이도 선착장 부근에 토막 낸 시신을 내다 버린 김하일(47·중국 국적)이 살해한 피해자도 자신의 아내였다. 2014년 '수원 팔달산 토막살인 사건'을 저지른 박춘풍(57·중국 국적)에게 희생된 여성도 동거녀였다.
작년 2월 발생한 화성 육절기 살인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는 세입자와 집주인 관계였다. 두 사람은 오랜 기간 알고 지냈고, 가해자 김모(59)씨가 60대 집주인 여성에게 구애했다가 거절당한 적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7살 난 아들을 숨지게 한 뒤 시신을 훼손해 냉장고에 장기간 보관한 부천 '초등생 시신훼손 사건'의 가해자는 모였다.
이 교수는 "일반인들도 이제 인터넷이나 영화 등의 영향으로 과학수사에 대해 많이 알게 됐다"면서 "이 과정에서 범행을 완전히 은폐하려는 욕구에 따라 증거를 최소화하려다 보니 시신을 훼손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CCTV가 없었을 땐 나의 정체를 숨기기가 수월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내가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도 한몫한다"며 "이 때문에 CCTV가 오히려 강력범죄의 잔혹성을 암묵적으로 부추길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오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 적나라한 보도행태와 모방범죄 '악순환'
프로파일러 출신의 배상훈 서울디지털대 경찰학과 교수는 미디어의 보도행태도 잇따른 흉악범죄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배 교수는 "언론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접한 '오원춘 사건'과 같은 내용을 머릿속에 깔아놓고 있다가 자신이 그런 상황에 닥쳤을 때 과거 알고 있던 내용이 행동으로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자신이 의도를 갖고 한 행동은 아니지만, 무의식적으로 마치 모방범죄와 같은 결과를 낳게 됐다는 뜻이다.
최근 인터넷언론이나 종합편성채널 등이 늘어나면서 관련 보도가 잦아지면서 시청자들이 적나라한 보도에 노출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배 교수는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특히 사회성이 결여된 사람의 경우 혼자서 자신이 아는 방식대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그런(시신훼손) 범죄까지 따라 하게 된다"고 밝혔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잔인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토막살인'이라는 용어가 마구잡이로 사용되는데 좀 지양해야 할 것"이라면서 "언론이 강력범죄와 관련한 보도를 할 때는 수위를 좀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살해 후 시신을 여러 차례 절단한 사건, 소위 '토막살인사건'의 통계를 따로 집계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su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