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백제의 숨결이 살아있는 부여 궁남지
2013-07-15 14:40:09최종 업데이트 : 2013-07-15 14:40:09 작성자 : 시민기자   심춘자

백제 천오백년의 숨결과 함께하는 부여의 아침산책은 새벽과 함께 시작 되었다. 아직 단잠에서 깨지 않는 동행을 흔들어 산책에 나섰다. 하늘의 검은 구름이 머리 위까지 내려와 당장이라도 비를 퍼부을 기세였지만 상큼한 풀 냄새와 신선한 공기는 머리를 맑게 해주었고 안구를 정화시켜 주었다. 

하룻밤을 묵었던 숙소 앞에 정림사지 5층 석탑과 박물관이 있다는 것을 전날 들어오면서 미리 알아두었던 터라 일정에는 없었지만 그냥 지나칠 수는 없었다. 이른 시간이라 박물관으로 통하는 철문은 굳게 닫혀 있었다. 
외양으로 보이는 건물 양식은 일본 건축물에서 보았던 살짝 일본 냄새가 나는 건축 양식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일본의 건축 양식을 닮은 것이 아니라 백제의 문화가 일본으로 전래 되어 지금의 일본건축양식을 이룬 것을 보면 단지 일본냄새가 난다는 것은 익숙함이 개인의 잘못 된 인식과 좁은 역사 안목이었을 뿐이었다. 

백제의 숨결이 살아있는 부여 궁남지_1
정림사지 5층 석탑

정림사지 5층 석탑도 가까이에서 볼 수는 없었지만 담 너머 볼 수 있다는 것이 천만 다행이었다. 정림사지5층 석탑은 국보 9호로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낮은 1단의 기단위에 5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탑의 모서리에 세운 배흘림기둥이나 넓은 지붕돌, 들려진 처마선 등은 목조건축의 구조를 모방한 것으로 익산미륵사지석탑과 함께 백제 석탑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탑은 목조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정의 석탑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며 l층 몸돌에는 백제를 멸한 나당연합군의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대당평백제국비명(大唐平百濟國碑銘)'을 새겨 넣어 당시의 상황을 말해주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가 되고 있다. 

간단한 아침 식사를 마치고 부여의 유적들을 본격적으로 살피기 위해 출발했다. 궁남지 주차장에서 내려 먼저 서동(백제30대 무왕의 아명)모가 살았다는 집터로 향했다. 입구에는 보라색 꽃이 예쁜 허브 식물과 해바라기가 반긴다. 영화 '해바라기'를 연상 할 정도로 탐스러운 해바라기 물결이 이어졌다. 흐린 하늘 가운데 살짝 드러나던 푸른 하늘도 자취를 감추고 바람 따라 미우가 흩날렸다. 

서동모가 살았다는 집터의 흔적은 온데간데없고 우물만이 이곳이 집터였다는 보여주고 있었다. 몇 년 전까지 이곳은 양계장이 있어서 우물도 막히고 닭똥 천지인 것을 복원한 것으로 집터는 원추리 밭이 되어 있었다. 집터에서 서동의 어머니가 용과 정을 통했다는 궁남지의 포룡정은 느티나무에 가려서 볼 수 없었다. 

백제의 숨결이 살아있는 부여 궁남지_4
서동과 선화공주가 함께 놀았다던 왕포천. 잡초만 무성하다

서동과 선화공주가 하천을 거닐면서 놀았다는 왕포천도 물은 마르고 잡초가 우거져 아름다운 사랑이 전해지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라고는 상상 할 수 없었고 단지 이정표만이 잊혀져가는 그 오래전의 사랑 이야기를 지키고 서 있었다. 

지금의 궁남지는 해마다 열리는 연꽃 축제로 유명하지만 이곳은 백제 무왕에 얽힌 전설이 더 유명한 곳이다. 곧 있을 연꽃축제를 앞두고 찾아간 궁남지는 아름답게 피는 연꽃 영상을 담기 위한 카메라맨들과 많은 여행객들이 한가롭게 둘러보고 있었다.

궁남지는 백제의 무왕 때 만들어진 별궁연못으로 물을 20여리나 되는 긴 수로로 끌어들여 물가 주위에는 버드나무를 심고 연못 속에 섬을 만들어 신선이 산다는 방장산을 상징시켰다고 '삼국사기'에 쓰여 있으며 '궁궐의 남쪽에 연못을 팠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 곳에서 뱃놀이를 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연못의 크기와 건물터가 상담했음을 알 수 있고 당시 궁남지가 지금의 크기 열배나 컸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한다. 

백제의 숨결이 살아있는 부여 궁남지_2
궁남지에서 다양한 연꽃을 볼 수 있다.
,
백제의 숨결이 살아있는 부여 궁남지_3
연못 가운데 있는 포룡정

구름다리를 닮은 목교를 따라 들어가자 발밑에는 온갖 물고기들이 떼 지어 다니고 연못 가운데 고고히 서 있는 포룡정에 다다랐다. 이곳은 백제 무왕의 출생에 대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사비시대 왕릉 남쪽 가에는 궁궐에서 나와 혼자 사는 여인이 궁남지의 용과 교통하여 아들을 낳았으니 그가 바로 백제 30대 왕인 무왕 장이다'라고 했으니 용은 왕이거나 태자일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포룡정에서 바라 본 사방은 주황색의 나리꽃과 해바라기 천지로 버드나무 밑 한 곳에 대 있는 목선이 운치를 더하고 있었다. 

지금은 연꽃 축제와 함께 분수대를 만들어서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어 해마다 수많은 여행객들이 50여 종의 다양한 연꽃을 즐길 수 있다. 평소에 보기 힘들었던 이름을 알 수 없는 보라색 수련, 개나리 꽃 보다 더 노란 수련, 금방이라도 아름다운 자태의 심청이 나올 것 같은 분홍색 연꽃은 눈을 뗄 수 없게 했다. 빅토라아연은 최대 2미터까지 자라며 그 위에 어린아이가 올라앉아도 끄떡없을 정도라니 부력을 미루어 짐작 할 수 있다. 

연못 사이사이로 길을 내 친구나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맞춤장소라고 생각되었다. 나무다리 위에서 바라보는 고고한 자태의 연꽃과 수면에 달라붙은 수련을 각도를 달리하여 자유롭게 감상 할 수 있고 특히 궁남지에 얽힌 설화를 되새겨보면 또 다른 역사가 만들어질지도 모를 일이다.

옥의 티라면 궁남지를 둘러싼 수목들에게 전선을 칭칭 감은 것은 야간에는 아름다운 조명을 만들겠지만 낮에는 흉물처럼 보였다. 또한 사람들의 볼거리를 만들기 위하여 살아있는 나무들에게 전선을 빈틈없이 감은 것이 그리 좋게 보이지는 않았다. 수목은 푸름 자체로 휴식을 주는데 욕심이 너무 과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