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연합이매진] 구석기 시대 맥가이버를 만나다
2017-05-13 08:01:02최종 업데이트 : 2017-05-13 08:01:02 작성자 :   연합뉴스

(연천=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약 50만 년 전 뜨거운 용암이 옛 한탄강 유역을 따라 흘러 거대한 용암대지를 형성했다. 수많은 물줄기가 대지를 갈라 흐르고 곳곳에 습지와 호수가 생성됐다. 이후 대지 위에 퇴적물이 쌓이자 숲이 우거지고 강에는 물고기가 살고 동물들이 모여들었다. 그야말로 따뜻하고 아름답고 먹거리가 풍부한 지상낙원이었다. 마침내 35만 년 전쯤 이 풍요로운 땅에 구석기인이 터를 잡고 살기 시작했다. 이들은 최초로 완전하게 곧게 서서 걷고, 도구와 불을 사용한 호모 에렉투스(곧선사람). 언어로 의사소통하고 옷도 만들어 입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나타난 호모 에렉투스는 150만 년 전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아시아까지 진출했다. 이후 10만 년 전까지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곳곳에서 무리 지어 생활했다. 경기도 연천 전곡선사유적지에서는 곧선사람이 활동한 시간 속으로 여행을 떠날 수 있다.
◇ 데이트 중 발견한 구석기 주먹도끼
1978년 3월 미국 인디애나대학에서 고고학을 전공한 주한 미군 그렉 보웬은 한탄강 유원지에서 데이트를 즐기던 중 모양이 특이한 돌을 발견했다. 심상치 않은 돌이라는 것을 직감한 그는 프랑스의 저명한 구석기 전문가인 프랑수아 보르드 교수에서 사진과 발견 경위를 적은 편지를 띄웠다. 보르드 교수는 "직접 가보고 싶을 정도로 중요한 발견이지만 그럴 수 없으니 김원용 서울대 교수를 찾아가도록 하라"는 답장을 보냈다. 보웬이 가져온 돌을 본 김 교수는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주먹도끼였기 때문이다.
당시만 해도 주먹도끼는 서구의 전유물이었다. 인도를 중심으로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은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동아시아 지역은 찍개(자갈돌을 한쪽에서만 타격을 가해 떨어져 나간 면과 원래의 자갈 돌면이 날을 이루는 석기)를 사용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었다. 이는 서양인이 동아시아인보다 인종적으로 우월하다는 주장의 근거로 이용됐다. 전곡에서의 주먹도끼 발견 이후 기존 학설은 뒤집혔다.
김소영 전곡선사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이전에는 단순히 돌을 쳐서 만든 박편이나 조각을 사용했지만 주먹도끼는 사람들이 미리 생각해 고차원적으로 만든 도구"라며 "전곡리에서 발견된 주먹도끼는 동아시아에서도 인류의 보편적인 흐름이 나타났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구석기인과의 대화마당 '전곡선사박물관'
전곡선사박물관은 구석기 시대를 들여다볼 수 있는 공간이다. 우주선 같은 은빛 유선형 건축물은 2013년 한국건축가협회가 선정한 '올해의 건축 베스트7'에 선정됐을 정도로 특이하면서도 유려하다. 전곡 선사유적지에서 발견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구석기 최고의 스마트 도구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박물관을 이런 모습으로 디자인했다고 한다.
선사시대 동굴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실내에서는 구석기 시대를 만날 수 있다. 가장 먼저 방문객을 맞는 것은 인간이 만든 최초의 규격화된 도구인 주먹도끼 5점. 주먹만 한 도끼들이

[연합이매진] 구석기 시대 맥가이버를 만나다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