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연합이매진] 나주읍성, 옛 모습 되찾는 호남의 千年古都
2017-08-07 08:01:01최종 업데이트 : 2017-08-07 08:01:01 작성자 :   연합뉴스

(나주=연합뉴스) 이창호 기자 = 호남의 곡창인 나주평야를 넉넉하게 품고 있는 나주는 호남의 천년고도다.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따 전라도라는 이름을 지었듯이 나주는 고려 성종 때 목(牧)으로 지정된 이후 구한말까지 1천여 년 동안 호남의 행정·경제·군사·문화 중심지였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300여 명의 목사(지방관)가 파견됐고, 조선 후기에는 곡식 세금이 전국 1위, 인구는 5위를 차지했다. '천년목사 고을'로 불리는 이유다.
나주읍성은 고려 건국과도 무관치 않다. 후삼국 때 왕건은 영산강 일대에서 견훤군에 크게 승리하고 난 뒤 나주 호족 오다련의 딸과 혼인했고, 이 지역을 근거로 후백제를 멸망시켰다. 오 씨는 2대 왕 혜종의 모후인 장화황후가 됐고, 나주는 고려 왕조의 '외갓집'이 됐다.
나주읍성(사적 제337호)은 고려 시대 왜구방어를 위해 쌓은 토성으로 조선 초기 석축성으로 고친 평지 읍성이다. 나주의 진산인 금성산(451m)을 등지고 남쪽으로 영산강이 흐르는 배산임수 지형으로 북악산과 한강을 품고 있는 한양의 지세를 닮았다. '작은 한양'이라는 별칭에 걸맞게 읍성의 둘레는 3.5㎞, 성벽의 너비는 6m, 면적은 97만3천여㎡에 이른다.
한양 도성처럼 동서남북 방향으로 동점문(東漸門), 서성문(西城門), 남고문(南顧門), 북망문(北望門) 등 4대문이 있다. 사신과 중앙관리들의 숙소였던 금성관, 지방관이 정무를 집행하던 동헌, 나주목사의 살림집이던 목사내아 등 관아의 규모와 위상은 전국 제일이었다. 정조의 꿈이 담긴 조선 최초의 신도시인 수원화성 면적이 37만1천145㎡이니 당시 나주읍성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와 산업화 과정을 거치며 이런 문화유산들이 훼손됐거나 사라졌다.
양순용 문화관광해설사는 "나주읍성과 4대문 복원 사업을 통해 나주목이 옛 모습을 되찾고 있다"며 "4대문과 서성벽길, 목사내아, 금성관, 나주향교 등을 통해 나주가 호남의 중심지였음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 영산강이 가로지르는 '작은 한양'
맨 먼저 들를 곳은 4대문 중 동쪽에 우뚝 서 있는 동점문이다. 동점이란 명칭은 '동쪽으로 점점 흘러 바다에 이른다'는 뜻으로 서경(書經)에서 유래됐다. 읍성을 가로지르는 나주천이 서에서 동으로 흘러 영산강을 만나 바다에 이른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동점문은 옹성이 설치된 2층 문루다. 홍예문식 성문의 바깥에 'ㄱ' 자 모양의 옹성을 둘러쳐 방어력을 높였다. 읍성 바깥쪽에는 목책을 이중으로 세웠다. 일제 강점기에 훼손되어 사라졌다가 2006년 당시 모습으로 복원됐다.
동문 밖의 석당간(보물 제49호)은 고려 초 나주의 터를 정할 때 배 모양인 행주형 지세를 가진 나주의 안정을 꾀하기 위해 돛대로 세웠다고 한다. '동국여지승람'엔 '동문 밖에는 석장(石檣), 동문 안에는 목장(木檣)을 세웠다'고

[연합이매진] 나주읍성, 옛 모습 되찾는 호남의 千年古都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