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한국 농업발전의 진원지 농업발전에 여생을 바친 수원 속 우장춘 박사
2023-09-18 16:40:47최종 업데이트 : 2023-09-18 16:40:46 작성자 : 시민기자   차봉규

우장춘박사가 개발한 배추

우장춘 박사가 개발한 배추


수원에는 조선시대에서 근대사에 이르기까지 많은 유적지가 있다. 그중 하나인 서호(西湖)와 둔전(屯田)은 농업문화의 진원지로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농업 발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서호 와 옛 농촌진흥청 (현 선거연수원)

서호 와 옛 농촌진흥청 (현 선거연수원)


정조시대에 가뭄을 대비한 수자원 농업정책은 박정희 정부 시대에는 기아(起餓)를 해결하기 위한 식량증산정책에 기조를 뒀다. 농촌진흥청 주도하에 허문회 서울대 교수에 의해 벼 품종개량 성공으로 '통일벼'를 생산 제1의 식량문제를 해결했다.
 

 농촌진흥청 시험답 (사진: 지난해 가을)

농촌진흥청 시험답 (조선시대 둔전)

 

우장춘(禹長春) 박사는 우리나라 건국 초기에 한국의 농업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지만, 그를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가 않다. 한국인의 제2의 식량으로 불리는 배추와 무 김치는 우장춘 박사의 '종의 합성' 성공으로 오늘날 삼시 세끼 우리의 밥상에 오르게 되었다.
 

겨울양식인 배추 김장김치

겨울양식인 배추 김장김치


우 박사는 1898년 4월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일본에 살다가 1950년 3월 8일 52세 나이로 조국 대한민국에 돌아와 한국 농업발전에 여생(餘生)을 바쳤다. 우 박사는 일본 사무라이들에 의해 명성황후(민비) 시해 때 가담한 아버지 우범선(禹範善)씨가 일본으로 도피 기타노 이치헤라는 이름으로 망명생활하던 중 사카이 나카 여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우 박사는 1916년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에 입학해 1919년 졸업 후 일본 농림성 농사시험장에 연구원으로 취직했다. 1936년 5월 '종의 합성(種의合性)이라는 논문으로 도쿄 제국대학에서 조선인으로는 두 번째로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에서는 쌀과 보리만 경작했다. 무엇보다 한국인들의 중요한 식품인 김치를 담가야 할 배추와 무 씨앗을 일본에서 수입을 해야만 했다. 해방 후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후진 농업국인 우리나라는 농업 발전을 위해 우장춘 박사 같은 농학자가 절실히 필요한 때였다.

 

우 박사는 한국정부의 요청에 의해 1950년 3월 8일 한국으로 귀국한 후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농림부장관 제안을 받았으나 이를 거절하고 부산에 한국 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 초대 소장을 지냈다. 귀국한 지 3개월 만에 6.25 전쟁이 발발했다. 우 박사는 장교로 입대 53년 휴전 후 소령으로 예편했다. 그 후 53년 중앙 원예기술원장, 58년 원예시험장을 지냈으며 농업 과학자로서 원예육종(育種) 사업과 후진양성에 전념해 왔다.

 

우박 사는 부산에 있는 농업과학연구소를 수원(옛 농촌진흥청)으로 이전 수경시설을 만들고 김치가 중요식품인 우리의 식생활에 맞춰 배추와 무종자를 개발하는데 우선을 두었다. 우 박사는 '종의 합성' 이론으로 일본의 재래종 배추와 양배추를 교배해 한국의 토양과 환경에 맞는 배추와 무 종자 개발에 성공 54년 신품종 배추와 무 종자의 대량생산으로 전국에 보급하기 시작했다.  
 

장마가오기전 텃밭에서 감자를 캐는 농부

우장춘박사가 개발한 감자를캐는 농부


병충해에 약한 강원도 감자에 우량종 감자를 개발해 식량난을 해결하고 제주도에 기후와 토양에 맞는 감귤과 한라봉 재배를 시도해 지금의 산업의 기틀을 닦은 것도 그의 노력이다. 피튜니아 홑꽃을 화초용 접꽃으로 종자개량 유채꽃 재배 나팔꽃 코스모스 재배 등의 업적을 남겼다. 우박사의 헌신으로 대한민국에 현대 원예농업기술이 발전했다. 지금은 한국의 김치는 외국 영양학자들에 의해 영양의 보고(寶庫)로 알려지면서 세계적인 김치가 되어 미국 등 여러 나라에 수출까지 하고 있다.

 

우 박사는 지병인 십이지장궤양으로 세 차례나 수술을 받았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1959년 8월 10일 61세에 서울병원에서 별세했다. 별세 3일 전에 병실에서 대한민국 '문화 훈포장'을 받았다. 우 박사는 눈물을 흘리며 "고맙다. 조국이 나를 인정했구나" 라며 회한의 눈물을 흘렸다는 일화도 있다.


봉분대신 상석위에 동판으로된 흉상 사진이 새겨있다 (사진: 2014년 방문)

봉분대신 상석위에 동판으로된 흉상 사진이 새겨있다 (사진: 2014년 방문때 찰영)


우장춘 박사는 아마도 조국을 배신한 아버지 우범선의 아들이라는 것이 평생 죄책감으로 남아 마음에 짐이 되었던 같다. 묘지는 우 박사가 근무하던 옛 농촌진흥청 뒤 여기산 중턱에 묻혔다.
 

우장춘박사 묘소로 들어가는 입구 문이 잠겨있다

우장춘 박사 묘소로 들어가는 입구 문이 잠겨있다.


수년 전에는 개방되어 필자가 친지를 따라 가본적이 있어 17일 묘소를 방문차 찾아갔지만 철망으로 된 문이 잠겨있다. 농촌진흥청이 전주로 이전한 후 여기 산이 '백로' 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여기산 둘레를 철망 울타리로 둘러 일반인은 들어갈 수가 없다고 한다. 방문하고 싶으면 수원시 공원관리과의 허락을 받어야 출입할 수 있다고 한다.

 

차봉규님의 네임카드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독자의견전체 0

SNS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icon 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