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국립농업박물관 “한국 장(醬) 문화의 재발견” <기다림의 맛, 시-간> 전시 개최
한국 장(醬) 문화 유네스코 등재 기원 기획전, 2025년 2월 23일까지
2024-10-29 10:17:57최종 업데이트 : 2024-10-30 08:04:47 작성자 : 시민기자 차봉규
|
장(醬)은 기다림의 맛 시간이 필요한 식품이다
식량을 생산하기 위한 인류의 농경 문화가 발달하면서 밥상에 오르는 쌀, 보리, 콩과 같은 곡물은 일상적인 식사에 뿌리내렸다. 채소를 비롯한 다양한 식재료로 만든 반찬은 우리의 식탁을 풍성하게 만든다. 발효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인류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왔다. 특히 간장, 된장, 고추장 등 발효 음식은 우리의 입맛을 한층 더 풍미(豊味) 있게 한다.
1부 '장 (醬)'의 과거를 보다 씨간장 항아리 바닥과 벽에 간장이 소금으로 변해 하얗게 성석되었다.
간장을 담그려고 메주를 깨끗하게 씻어냈다
장독대의 옹기 속에서 발효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단순한 음식 제조를 넘어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의 옛날 집들은 부엌과 가까운 곳에 장독대를 만들었다. 장독대를 가득 채운 옹기들은 발효 음식을 저장하는 숨 쉬는 그릇으로 햇볕이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물과 공기, 온도 등 자연과 교감하며 메주의 미생물을 키워낸다. 잘 익은 메주는 다른 옹기에 담겨 우리 음식에 주요 양념이 되는 간장, 된장, 고추장으로 변모한다. 장독대에 놓인 장 들은 계절의 변화와 자연의 영향을 받아 각기 다른 맛으로 익어간다. 장을 발효시키는 숨쉬는 장독대 항아리
장 담그는 법을 기록으로 남긴 증보산림경제
우리 장(醬) 문화에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있다. 옛날에 어머님들이 장 담그는 것을 보면 항아리에 정수(淨水)를 가득 채우고 소금을 풀고 계란을 띄워 염도(鹽度)를 측정했다. 계란이 3분의 1쯤 뜨면 메주를 담근 후 고추와 참숯, 솔잎을 넣고 소금을 살짝 뿌려 놓는다. 이는 장독에 다른 해충이 들어오면 살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메주로 장을 담그고 해충을 예방하기 위해 고추와 참숯을 넣었다
비빔밥에 발효 식품인 고추장과 양념장이 놓여 있다
예전에는 한식을 떠올리면 매운 음식과 김치 정도를 생각했지만 이제는 다양한 발효 양념을 사용한 요리를 통해 우리 음식이 맛있고 건강에도 좋다는 인식이 생겼다. 한류와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대의 흐름 속에서, 우리 장 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통해 우리만의 '맛'과 '향'이 담긴 한국 음식문화의 위상이 높아지기를 바란다. 과거 기록과 문헌을 바탕으로 한국 장 문화를 조명한다. 연관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