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맥락, 나의 맥락' 신박한 뇌 과학 이야기
스타필드수원 명사특강, 이인아 교수의 ‘행복이 시작되는 세가지 습관’
2025-01-23 14:33:55최종 업데이트 : 2025-01-23 14:33:53 작성자 : 시민기자 진성숙
|
측두엽에 있는 '해마'. 1587년 이탈리아 해부학자가 쥴리우스 아란티우스가 발견했다.
우리의 뇌가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 분명한 결정을 하고 적응하는 원리, 그리고 더 나은 맥락 생성자가 되기 위한 방법을 깨닫는 시간이라고나 할까. 다소 독특한 주제라서 그런지 방학을 맞은 학생과 수원시민 200여 명이 좌석을 꽉 메워 진지한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기억의 메카니즘으로 인간성을 해부하는 뇌인지과학자, 이인아 교수는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하고 졸업, 미국유타대에서 2002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고 한다. 심리학과는 인문학이고 뇌과학은 자연과학인데 두 분야의 연결고리가 어떻게 이어졌는지 흥미로웠다. 이 교수는 박사학위 연구시절부터 뇌의 해마학습과 더불어, 기억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해 세계적 전문가라고 들었다. 2022년 한국뇌신경과학회로부터 장진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뇌인지과학자이자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이인아 교수강의에 몰입하는 청중들
인류는 무엇이 핵심인지 척 보면 아는 기술로 지구상 최상위 포식자로서 살아남아 현대문명을 만들었다. 그것은 인간에게 우수한 두뇌가 있기 때문이다. 이날 '해마'란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해마는 우리 뇌에서 측두엽에 위치하며 기억을 담당하는데 보통 1센티미터 정도의 지름과 5센티미터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뇌도 간, 심장처럼 일종의 장기이고 850억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그 영역은 무려 1,000개의 에리어를 갖는데 이는 뇌가 우리몸에 1000개 있다고 봐도 된단다. 뇌는 여러개로 구성된 신경망으로 정보처리를 하는데 기본적으로 패턴을 학습하는 기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뇌세포는 영역간 말을 하는데 그 말의 정체가 화학물질이다. 화학물질은 신경전달물질 '뉴욕 트랜스포터'라고 부른다고 이 교수가 알려준다.
이토록 쏙쏙 들어오는 환한 설명이라니. 뉴런과 뉴런 사이가 '시냅스'.오늘의 도서 '퍼펙트 게스', 교수가 1층 관객 일부에게 도서를 선물했다.
맥락의 중요성을 말하자면 세상의 애매함을 해소하는데도 도움이 되지만 기억의 의미이기도 하고 맥락이 있어야만 예측이 가능하단다.
뇌의 커뮤니케이션각자 살아온 삶의 무늬가 그만의 삶의 결, 맥락을 형성한다
뇌는 24시간 일하고 잘 때도 꿈의 형태로 계속해서 시나리오를 돌리고 있다. 뇌를 완전히 쉬게 하겠다는 것은 착각이란 말이 인상적이다. 뇌는 번아웃이 올뿐이지, 능력이 대단해서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다는 재미있는 말도 한다. 이렇듯 뇌의 자연스러운 작동 방식은 세상속의 파편화된 정보들을 '맥락'이라는 뜨개질을 통해 하나의 패턴으로 엮는 방식이라고 한다.
QR코드 질문에 위트있게 답해주는 이인아 교수
이 교수는 "뇌라는 공간에 무엇을 넣는지에 따라 나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배치된 '세상 하나뿐인 아름다운 정원'이 될수도 있고 '천편일률적이고 그저 단조로운 공간'이 될수도 있다"고 말한다.
Happy Brain! 생각해보면 눈으로 본다는 건 뇌로 보는 것이고, 냄새를 맡는 것도 뇌가 맡는 것이다. 이토록 소중한 뇌를 잘 지키고 건강하고 행복한 삶으로 나아가는 것이 현대인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일인 것만 같다.
스타필드수원 별마당도서관, 명사특강, 이인아교수, 뇌과학이야기, 진성숙 연관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