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자서전 ‘내 삶을 기록하고 추억하다’
서수원도서관, 스마트폰 활용으로 자신의 삶을 영상으로 기록하고 제작하다
2025-04-09 11:46:29최종 업데이트 : 2025-04-09 16:48:01 작성자 : 시민기자 진성숙
|
김은영 미디어 강사 내가 짧지만 멋진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이 된다면? 이 얼마나 신나고 흥미 있는 일이 될 것인가? 생각만 해도 짜릿하지 않은가. 지난 4월 8일 오전, 서수원도서관에서는 연령대가 다양한 15명의 수강생이 모여 흥미로운 디지털 영상수업 5회차 수업이 열렸다. 모두 8회의 수업을 통해 각자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삶이나 관심사를 주제로 영상 제작을 해보는 멋진 프로그램이다. 강사는 김은영 미디어 강사로 수원미디어센터와 수원시내 여러 복지관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매우 꼼꼼하고 친절한 지도로 하나라도 놓칠세라 수강생들에게 세심하게 신경을 써주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21세기는 사진의 세계를 넘어 이젠 영상의 시대다. 하루에도 세계에서 엄청난 양의 영상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있다. 전문적인 영화감독들도 많지만 일반인들도 소소하게 자신의 일상을 영상으로 찍어 블로그나 인스타그램 릴스에 올리는 일이 일상이다. 이런 영상을 어떻게 만들어 얼마나 효과적으로 남들에게 어필하느냐, 멋진 콘텐츠로 연결하느냐는 현대인의 중요한 관심사다. 수업의 내용상 15명의 소수정예 인원만 모집한다. 참가자들의 열정적 수업풍경 바른 사진가, 영상 촬영가의 자세란?
앞서 1~4회차 수업을 통해 기록과 추억을 남기는 다양한 사진과 미디어 등에 대하여 공부했다. 영상의 기본이 되는 사진에 관한 기본적인 공부부터 삼각대 사용법 그리고 2명이 짝이 되어 인터뷰를 시도하고 상대에게 인터뷰이도 되어 보는 등 다양한 실습도 했다. 가족 사진을 3분짜리 다큐로 만들려면 오래된 사진이든 현재 사진이든 몇 장이 필요한가도 연구해야 한다. 그러므로 영상 제작에 쓰일 사진 및 영상 자료를 수집할 것과 직접촬영에 대한 지도, 그리고 영상 편집 앱 키네마스터를 통한 짧은 영상 실습도 했다. 그리고는 각자 자신의 영상 자서전 주제를 미리 탐색할 것을 당부했다.
한 참가자가 삼각대를 고정하고 인터뷰 하는 광경 김은영 강사는 자신이 제작한 다양한 영상 작품들을 보여주었다. 사진에는 사실 이렇다 할 감정이 없다. 그러나 그런 사진을 여럿 이어붙이고, 거기에 잔잔한 음악이 흐르면서 대상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이 실린다면 친절한 동영상이 되어 뭉클한 감동을 자아낼 수도 있는 것이다. 강사는 더불어 영상을 잘 만들려면 감정이입을 잘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인다.
수업이 쉽지만은 않고 따라가기 버거운 점도 있었다. 그래서 보조강사 두 분도 수고해주신다. 또 한 번 빠지면 자칫 진도를 따라갈 수 없기에 결석을 할 수가 없다. 언제나 수업 분위기는 몰입 분위기로 진지하다. 먼저 사진 8컷에 음악을 입혀 짧은 영상까지 만들어봤는데 이날은 구체적으로 영상에 자막넣는 법, 화면 위에 또 화면을 얹는 방법, 오디오 음악은 우선 초보자들이니 유료 버전을 피해 무료 콘텐츠를 쓰는 방법 등을 배웠다. 화면을 늘리고 좁히고, 분할 및 편집, 장면전환 하는 법 등 편집 방법에 대하여 끝없이 배우면서 스마트폰의 세계가 이렇게 다양하구나 놀랄 수밖에 없었다.
김은영 강사는 노인복지관등에서 봉사도 오래 하였는 바 어르신들이 영상제작을 배우며 자신의 삶을 반추하고 자신을 다시금 돌아보고 가족을 돌아보며 삶에 대한 긍정자세를 배우고 '나도 도전해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고 한다. 수업 프로그램
아직 3회차 수업이 남았는데 수강생 모두 수업 종료시 영상 제작에는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어서 근사한 콘텐츠 하나씩은 제작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하루하루가 모여서 한 달이 되고 한 달이 1년이 되는 가운데 우리는 자신만의 '결'과 '삶의 무늬'로 생을 살아간다. 어쩌면 디지털영상자서전수업은 살아가면서 이런저런 어려움이 있다 하더라도 그런데도 불구하고 반짝반짝 내 삶을 지탱해 주었던, 또는 지탱해 주는 소중한 보석들을 하나하나 찾아 나서는 근사한 여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서수원도서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탑동로 57번지 35 프로그램문의전화: 031-228-4746 ![]()
연관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