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사용자메뉴
즐겨찾기 추가
웹진구독하기
시민기자가입
0
시민기자로그인
사이트맵
e수원뉴스
04월 08일 화요일
현재
7℃
미세먼지
검색
제목
내용
태그
기자성명
검색
제목
내용
태그
기자성명
주메뉴
기획&이슈
기획기사
칼 럼
웹 진
카드뉴스
수원人
수원알기
분야별 뉴스
문화ㆍ교육
경제ㆍ일자리
생활ㆍ복지
환경ㆍ건설
의회소식
이모저모
수도권뉴스
전국 방방곡곡
우리동네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
시민기자
출동!시민기자
수원여행
알리고 싶어요
시민기자 FAQ
함께해요!
공모
취업
이벤트
웹진구독
e-book
시민기자
웹진구독
Sitemap
기획&이슈
기획&이슈
기획기사
칼 럼
웹 진
카드뉴스
수원人
수원알기
분야별 뉴스
분야별 뉴스
문화ㆍ교육
경제ㆍ일자리
생활ㆍ복지
환경ㆍ건설
의회소식
이모저모
수도권뉴스
전국 방방곡곡
우리동네
우리동네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
시민기자
시민기자
출동!시민기자
수원여행
알리고 싶어요
시민기자 FAQ
함께해요!
함께해요!
공모
취업
이벤트
웹진구독
e-book
e-book
서브메뉴
사이트맵
e수원뉴스 안내
RSS
검색결과
저작권보호정책
본문영역
페이지 위치
검색결과
Home
> 사이트안내 > 검색결과
게시판 검색폼
기 간
~
섹 션
기사섹션 선택
기획기사
칼럼
웹 진
수원人
수원알기
문화ㆍ교육
경제ㆍ일자리
생활ㆍ복지
환경ㆍ안전
의회소식
이모저모
수도권뉴스
전국 방방곡곡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
출동!시민기자
수원여행
알리고 싶어요
제 목
내 용
태 그
기자성명
검색
※ 기간은 최대 1년까지 지정가능합니다.
시민기자 (799건)
수원화성박물관 '성곽의나라 세상을밝힌다' 사진 전시회
충청북도 보은에 있는 삼년산성 모습 수원화성박물관은 3월 22일부터 3월 30일까지 ‘성곽의 나라 세상을 밝히다’라는 제목의 사진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 성곽사진가회 주관, 빛글림, 솔내음캠핑촌, 무예공간 후원으로 진행되며, 우리나라 각 지역에 분포된 성곽의 모습을 담은 56점의 사진을 전시하고 있다. 관람객들은 사진을 통해 한국 성곽의 역사와 그 아름다움을 깊이 있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
시민기자 차봉규 | 2025-03-26 14:37:48
광복 80주년, 106년 전 3·1운동 그날의 함성
<항거, 수원1919> 광복 80주년, 106년 전 3·1만세운동 특별기획전이 열리고 있는 수원박물관 전경 과거의 정치, 사회, 문화는 오늘의 역사이고 오늘의 정치, 사회, 문화는 미래의 역사로 기록된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고 되돌아보는 것은 과거의 잘못은 반성하고 잘한 것은 계승시켜 후손들에게 물려줄 미래의 국가 발전을 위한 것이다. 조선이 일본에 침탈당한 것은 미래를 대비하 ..
시민기자 차봉규 | 2025-03-17 10:51:01
수원광교박물관 사운 이종학선생이 기증한 유물전시회 열려
우리의영토 독도의 모습 지난 7일 수원광교박물관을 방문했다. 1층은 광교역사문화실이고 2층은 소강실과 사운실이다. 소강실 옆 복도에는 수원시가 발굴한 독립운동가 13인의 사진과 기록이 전시돼 있다. 사운실에는 우리 역사를 지키기 위해 사료 수집과 연구에 평생을 바친 이종학(호는 사운 1927~2002) 선생의 유물과 사진 수백점이 전시된 공간이다. 사운 이종학선생이 관심을 가졌던 일제강점기와 독도, 수원 관련 자료 ..
시민기자 차봉규 | 2025-03-11 16:24:58
수원화성박물관, 화성 축성과 화성 문화 전시회 열어
관람객들이 화성축성 과정을 살펴보는 모습 수원에 살면서도 수원에 역사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수원의 역사를 알려면 정조 시대를 살펴봐야 한다. 지난 20일 취재차 수원화성박물관을 방문했다. 수원화성박물관 1층은 주로 정조시대의 유물이나 기록, 사진같은 기획전시실이고, 2층은 성축성실과 화성문화실로 조성되어 화성축성 관련 149점과 화성문화 관련 66점을 비롯한 야외 25점의 유물과 기록물, 영상물, 사진 등을 상시전시하고 있다 ..
시민기자 차봉규 | 2025-02-24 17:47:41
밤밭노인복지관 정월대보름 민속놀이한마당 열려
공중부양한 윷가락이 '모'일까. '도'일까. 옛날에는 설을 쇠면 정월보름 때까지는 농한기라 농사일을 중단하고 놀이를 즐기면서 설 명절을 보냈다. 어른들은 동네마당이나 주막집에서 편을 짜 술 내기 윷놀이를 하고 부녀자들은 방 안에서 종발윷을 놀거나 마당에서 널뛰기를 했다. 아이들은 연날리기나 제기차기, 팽이치기, 썰매 타기 등을 하면서 설 명절을 즐겼다. 보름날을 작은설이라고도 했다 ..
시민기자 차봉규 | 2025-02-16 12:28:43
1
2
3
4
5
페이지 맨 위로 이동